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1.11

1금융은행과 2금융은행을 나누는 기준이 먼가요?

1금융과 2금융으로 은행이 나뉘어지던데 그것을 나누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1금융과 2금융으로는 어느은행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1금융권은 제1금융권이라고도 불리며 은행, 보험회사, 투자회사 등 전통적인 금융기관을 포함합니다. 이들 기관은 주로 예금 수령, 대출, 증권 발행 업무에 관여합니다. 국민은행이나 우리은행처럼 우리가 들어본 우량 은행들이 여기 포함됩니다.

    비은행금융부문이라고도 불리는 제2금융부문에는 투자신탁, 신용협동조합, 금융회사 등 비전통적 금융기관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기관은 일반적으로 임대, 팩토링 및 소비자 금융과 같은 전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새마을금고나 캐피털 같은 곳이 해당됩니다.

    또한 제1금융권은 위험 관리에 대한 더 높은 자본 요구 사항 및 규정과 함께 더 규제되고 더 엄격한 감독을 받습니다. 제2 금융권은 일반적으로 규제가 덜하고 유연성이 더 큽니다. 즉, 자본 요구 사항과 규제 여부에 따라 금융권이 나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과 2금융권은 보통 은행법의 적용여부를 통하여 나눕니다.

    1금융은 우리가 흔히 시중에서보는 농협,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이 있고

    2금융은 새마을금고, 지역농협, 증권회사, 보험회사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1금융권은 중앙은행과 예금은행으로 구분됩니다. 중앙은행은 한국은행, 예금은행은 한국은행이 공급하는 통화로 예금을 창출하는 은행을 말하며,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국민은행, 하나은행 등이 대표적인 제1금융권 예금은행입니다.

    제2금융권은 은행을 제외한 보험회사, 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 저축은행 등을 말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은 예금 및 대출금리에서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예금자 보호법이 잘 적용되지 않는 제2금융권의 예금금리가 높은 편입니다. 대출조건은 제1금융권보다 상대적으로 수월하지만 대출금리가 높습니다.

    제2금융권은 은행을 제외한 금융기관을 통칭하여 부르는 명칭입니다.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면서 일반 상업은행과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비은행금융기관이라고도 합니다. 2금융권 금융회사에는 증권사, 종합금융회사, 보험회사, 카드사, 캐피탈, 저축은행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