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신중한하마99
신중한하마99

중국 cpi가 최저 상승했는데 중국과 무역이 늘어날까요?

중국의 cpi가 최저 상승을 해서 인플레가 잡혔다고 보는데 그럼 이제 중국과 무역이 늘어나 흑자를 볼 수 있는 건가요? 아니면 상관이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중국 CPI 상승률은 1월에 2.1%로 반짝 상승한 후 2월 1.0%, 3월 0.7%로 계속 낮아지는 추세이고 올해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을 통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빠른 경제 회복이 기대됐지만 소비 부진을 보여주는 통게치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여러 분석기관에서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1% 상승했다고 11일 밝혔고 2021년 2월 CPI 상승률이 -0.2%를 기록한 이후 2년2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로 전달보다 상승률이 더 낮아진것으로 시장 예상치(0.3~0.4%)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라고 합니다.

      올 들어 중국 CPI 상승률은 1월에 2.1%로 반짝 상승한 후 2월 1.0%, 3월 0.7%로 계속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 올해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을 통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빠른 경제 회복이 기대됐지만 소비 부진의 신호로 보이는 만큼 인플레를 벗어났다는 안도감 보다는 소비부진을 걱정해야 하는 것이 더 유력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대 중국 수출 상위 품목들 역시 중국내수에 기대는 품목이 많은 만큼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와 중국과 우리나라의 산업적 결합이 다시 단단해져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중국의 CPI가 최저 상승했다는 것은 인플레이션 수준이 낮아졌다는 의미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낮아지면 일반적으로 경제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경제 활동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한국과 중국 무역이 늘어날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어렵습니다. 중국과 한국의 무역 활동은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무역 거래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은 시장의 수요, 환율 변동, 무역 정책, 무역협정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 CPI의 최저 상승이 한국과 중국의 무역 활동 증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가능성을 제기할 뿐입니다.


      또한, 무역활동 증대가 무조건적으로 경제적 이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무역 활동이 증대될 경우, 이에 따른 무역 분쟁 등 경제적인 문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중국의 CPI 상승이 더디고 인플레이션 잡혔다고 하더라도 이는 일시적인 정책적인 변화이고 무역 흑자까지 기대할 수 있는 요소는 아닙니다. 무역 수지의 흑자는 여러 대내외적인 요소와 정치적인 요소가 결부되기에 하나의 지표만으로 무역 규모의 증감을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중국으로의 수출 급감은 반도체 수요 부진과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 부진이 주요 이유입니다. 중국 내 내수가 어느 정도 잡힌다면 수요가 증가할 수도 있지만 근본적인 판매 경쟁력이 확보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1. 중국 정부가 2023.5..11. 발표된 중국의 4월 물가지수는 불황 조짐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매물가인 생산자물가지수(PPI)는 7개월 연속 하락했고, 장바구니물가인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6개월 만의 최저치인 0.1%에 그쳤다고 합니다. 3년 동안의 제로 코로나로 인해 중국 경제주체가 자신감을 잃은 것이 문제이며, 방역 정책은 사라졌지만 경기 회복에 대한 믿음이 돌아오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중국 내수 수요가 팬더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려면 3~5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2. 중국 부동산 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20% 이상을 차지하는데, 부동산 시장 위축은 중국 전체 경기의 발목을 잡고 있으며, 중국 부동산 경기침체로 부동산 가격은 계속 하락하고, 부동산 투자가 안되어 공사 중단된 건축물이 많아지고, 부동산 구매력도 떨어져서 대부분의 시골출신의 농민공들의 일자리고 없어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중국인들의 기본임금도 너무 상승하여 인구가 많은데 돈 있는 부자는 7%가량도 안되어 나머지 가난한 시골출신 농민공들에게 일자리와 경제적 안정을 주지 못할 경우 반중국 세력으로 위협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3. 이처럼 중국 경기침제는 결국 전세계적으로 거대한 중국 소비사장이 위축으로 우리나라와 같이 대중국 수출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에서는 반도체 수출감소로 이어져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등 우리나라에도 엄청난 부정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중국의 물가가 잡히는 경우에는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잡히기 때문에 전세계적이 경기 호조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의 경우에는 원자재의 가격의 상승도 크게 때문에 중국의 원자재의 가격이 잡히는 경우에는 전세계적으로 물가 안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물가 안정이 된다면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도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경기 안정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물품의 교역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와중에는 중국도 충분히 무역흑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최근 중국의 cpi가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부진하여 경기둔화의 우려가 커졌다고 합니다.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4265976


      중국의 경기가 둔화된다는 것 자체가 우리나라와 최대 교역국인 중국경기가 좋지 못하다는 뜻으로 해석되며, 시간이 흐르면 좋아지겠지만 우리에게 유리한 상황은 아닌것 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