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게는 어떻게 생기며 왜 생기는건가요???
비가 엄청온날 길가다 하늘에
무지개가 떠있더라구요, 어떨땐 떠있고
어떨땐 보이지않던데 왜 때문인지 알수있을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무지개는 대기중에 물방울이 떠있고, 햇빛이 물방울에 의해 굴절되면서 다양한 스펙트럼의 색깔로 나눠지면서 관찰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빛의 굴절(빛이 공기에서 물방울로 들어가게 되면 빛의 속도가 변하게 되며 굴절을 일으키게 하죠 빛이 물방울의 표면에 들어갈때 발생하게 됨)과 반사(물방울 내부에서 빛이 다시 반사되며 빛의 일부가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되어 다시 물방울의 경계로 돌아오게 됨) 그리고 분산(물방울에서 나오는 빛이 다시 공기로 나오면서 굴절을 시키는데 빛이 파장에 따라 다른 각도로 굴절되며 빛이 분산되어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색의 일곱가지 색을 내게 됨)현상에 의해서 생기게 됩니다! 무지개가 보이기 위해서는 햇빛이 비가 내리는 지역을 비추면서 발생하고 물방울이 많이 존재하는 습한 상황이어야 합니다. 또한 무지개가 태양이 낮게 위치할때 더 잘 보이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지평선에서 42도 이하의 각도에 있을때 무지개가 잘 나타나므로 아침이나 저녁에 더 잘 보이게 되는것이지요!또한 태양을 등지고 물방울을 바라보는게 무지개를 잘 보이게 해줍니다. 태양빛이 물방울에 들어가고 나오는 과정이 각도때문에 발생하기 때문이죠! 이에 무지개가 형성하기 위해 비가 내려서 습하거나 태양이 낮게 떠 있꺼나 물방울의 양이 적당량 크게 되었을때 우리는 무지개를 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