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수익률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Etf는 여러 종목 주식을 똑같이 사는 건가요? 그러면 한 주식이 오르면 한 주식은 떨어지면 수익률이 안나오나요? 여러개주식이 떨어지고 한주식이 많이 오르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기초자산이라는게 항상 있습니다 ETF라는건 처음 발행시점부터 목표로 하는 기초자산이 편입되어서 상장발행이되고 이를 유통시장인 거래소에서 투자자들이 사고 파는것입니다
기초자산은 단순히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선물지수 하나만을 편입할수 있고 아니면 현물금이나 현물 비트코인 하나만을 기초자산으로 편입할수도 있습니다 이외 주식산업이나 어떤 삼성그룹이라는것을 목표로 해서 만들어 삼성기업들만 편입하고 이 비중을 어떻게 할지 신고서에 다 보고되는 구조입니다
즉 반도체산업을 타겟으로 한 ETF라면 증권신고서에 보고된 수십개의 반도체 종목이 비중별로 편입되어 있고 이들 주식보유가치를 지수로 표현한게 NAV라는 순자산가치로 네이버증권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매일매일 표기가 되며 거래되는 시가와 차이가 날경우 계약을 맺은 증권사의 LP가 매수와 매도를 하여 NAV와 시고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종목들에 있어서 여러 종목들의
수익율을 합산하여 ETF의 가격이계산하게 됩니다.
여러개 종목의 가격이 떨어지고 한종목이 많이 오르면
이를 산출하여 ETF의 가격에 반영이 됩니다.
ETF의 수익률은 추종하는 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됩니다.
ETF는 특정 지수(예: S&P 500)나 섹터를 추종하기 위해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여러 종목을 일정한 비율로 매입해 포트폴리오를 만듭니다.
여러 종목의 주가 변동이 ETF 전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며, 비중이 큰 종목이 상승하면 ETF 수익률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여러 종목이 하락해도 일부 종목이 큰 폭으로 오르면 하락을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습니다.
ETF는 분산투자를 통해 개별 주식의 변동성을 줄이면서 지수나 섹터 전체의 성과에 수익률을 맞춥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수익률은 ETF가 추종하는 지수의 변동에 따라 결정됩니다. ETF는 여러 종목의 주식을 포함하고 있어, 한 주식이 오르더라도 다른 주식들이 하락하면 전체 수익률이 상쇄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일부 주식이 크게 상승하면, 다른 주식의 하락을 보완할 수 있어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결국, ETF의 수익률은 포함된 모든 종목의 성과에 따라 종합적으로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