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맛있는홍시
맛있는홍시21.12.21

아이의 울음으로 아이의 상태를 확인하는 게 실제로 가능한가요?

보통 주변에 막 아이를 낳으신 분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아이의 울음소리를 통해 아이가 배가 고픈지, 오줌을 싼 건지, 응가를 한 건지,

혹은 어디가 아프거나 안 좋은 건지 분별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게 실제로 가능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네 알 수 있습니다. 대략 배가 고플 땐 응애 응애 하고 웁니다. 기저귀가 축축하거나 덥거나 졸리면 끄응끼잉잉잉하고 칭얼댑니다. 아프면 축 쳐지고 힘이 없이 징징댑니다. 심심해도 징징댑니다. 배도 부르고 기저귀도 뽀송하고 잠도 잤는데 징징거린다면 놀아달라는 신호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울음상태를 확인하고 싶군요

    모든 아기들은 잘 웁니다. 말 못하는 아가들에게 있어서 을음은 곧 엄마를 향한 의사 표현이죠

    가장 흔한 울음은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이죠

    배가 고프거나 기저귀가 젖었거나 너무 덥거나 추울 때 혹은 심심할 때 등 입니다

    이런 경우엔 엄마 아빠가 다 알아차리는데

    아기가 질병으로 인해 아파서 울 때는 울음 소리가 갑자기 큰소리로

    자지러지게 울 수도 있습니다

    신음을 내거나 소리가 점점 작아지면서 울 때는 폐렴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울음 소리가 날카로울 때는 선천성 심장 질환을 컹컹 거리며 울 때는 후두염을

    고양이 소리 같다면 묘성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울음소리를 통해 아이의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해주셨는데요, 아이도 한명의 인격체이기 때문에 적어도 제 경험상으로는 일정 톤에 의한 의사표시는 불가능하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정서적 교감이 충분한 부모님의 경우 아이의 울음소리를 통해 아이의 상황을 유추할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제 주위를 보면 모든 부모가 꼭 다 아는건 아닙니다 ^^;

    부모의 성향에 따른 차이도 있고

    아이에게 얼마나 관심을 갖고

    행동, 패턴에 예민한지의 차이가 있는듯 합니다.

    아이를 사랑하고 유심히 관찰하다보면

    자연스레 알아지는 것이기는 합니다 ^^


  • 안녕하세요. 황정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의 울음소리는 아기들만의 의사전달 방법입니다. 아기들은 울음으로 자신의 상태를 알리기 때문에 엄마는 가까이서 세심하게 관찰하고 돌봐 주어야합니다. 기본적으로 아기가 울면 수유시간(배가 고픈지)과 기저귀 상태를 우선적으로 확인합니다. 그래도 울음이 계속되면 아기의 몸에 열이 있는지 체크해 봐야합니다.

    아기 울음소리 구별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나 배가 고파요
    "응애 ,응아" 하고 입을 크게 벌리고 큰 소리로 우는 경우
    이 때 입 주위에 젖꼭지나 손가락을 대면 방향을 따라 입을 움직입니다

    2. 나 졸려요
    " 오,와" 소리로 울거나 눈을 비비고 마른 눈물의 울음소리를 냅니다

    3. 나 아파요
    "우왕,쿠왕"
    평소와는 다르게 날카롭게 울거나 자지러질 정도로 울면 배앓이나 열 체크를 해야합니다.

    4. 기저귀가 젖었어요
    " 헤에~"
    배변이나 오줌 싼 기저귀를 빠르게 바꿔줘야 발진 내지는 습진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놀랐을 때와 심심하니까 놀아 달라고 우는 소리가 다릅니다. 그 울음 소리가 일률적이지 않고 아기들만의 특별한 소리가 있습니다. 세밀한 관찰만이 아기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건강한 아기를 양육하기 위해 우리 아기만의 울음소리를 잘 파악해서 소통하는 엄마가 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아이가 우는 정도의 차이는 분명 있을 수 있습니다. 아파서 자지러지게 우는 것과 기저귀에 소변을 봐서 불편한 것은 차이가 있지요.

    다만, 어느 정도 그 때의 상황에 맞추어, 예를 들면 지금쯤 소변을 볼 것 같은데, 혹은 응가를 할만한데, 그리고 지금은 아직 밥 시간은 아닌데 등을 생각하면서 어느 정도 울음이 무엇인지 파악을 하게 되지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울음소리로 구별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현실에서는 조금 어려운 감이 없이 않아 있습니다.

    아이가 배고픈 시점인지 아니면 소변이나 대변을 본 시점인지 등을 구분하셔서 파악해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울음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고는 하나 이게 쉽지는 않습니다.

    아이의 식사시간, 배변시간 등을 체크해서 우는 이유를 알아보시는 것이

    현실적으로 정답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울음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수있으나

    울음만으로 아이가 어떤상태인지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몇몇 논문이나 이론에서는 아이의 울음만으로 아이가 대화하는것처럼 알아들을수도 있다는 연구도 있으나

    실제로 표본이 작으며, 이러한 부분은 거의 추측성이나 가설에 가깝기에 울음만으로 무언가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아이의 생활패턴상 이때 울면 배가 고픈것같은 이때쯤 대소변을 했는지 등이 파악되기에

    아이의 울음을 어림짐작으로 파악할수있는 것이니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울음이 상황에 따라서 조금다르긴하답니다.

    애정을 가지고 계속 듣다보면 아이의 울음의 차이를 느낄수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