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4.08

남극이 북극보다 더 추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지구의 두 극지인 남극과 북극의 평균 기온을 보면 남극의 평균 기온이 훨씬 더 낮더군요. 어떤 이유들로 인해서 남극이 북극보다 더 추운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과 북극의 평균 기온 차이는 지리적인 위치와 지형적인 특징, 해류, 대기 순환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지리적인 위치와 지형적인 특징:

    북극은 북반구 중심에 위치해 있고, 주변에는 대륙이 아닌 바다가 둘러싸여 있습니다. 반면에 남극은 남쪽 끝단에 위치하고, 주변에는 대륙이 둘러싸여 있습니다. 바다는 물의 열전도율이 높아서 온도 변화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나지만, 대륙은 물보다 열전도율이 낮아서 기온이 빠르게 변화합니다. 따라서 남극의 대륙적인 특성 때문에 북극보다 기온이 더 낮습니다.

    해류:

    북극에는 남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북대서양 해류와 북쪽으로 흐르는 차가운 북극해류가 만나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기후를 유지합니다. 반면에 남극은 대륙성 기후에 영향을 받아서 대부분이 극한의 추위가 지속됩니다.

    대기 순환:

    북극에는 대기순환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기후를 유지하는 반면, 남극은 남극 대기권에 오존홀이 형성되어 있고, 대기순환도 복잡해서 북극보다 기온이 더 낮습니다.

    따라서, 지리적 위치와 지형적 특징, 해류, 대기순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남극이 북극보다 더 추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이 북극보다 더 추운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리적인 위치: 남극은 북극보다 더 극지방에 위치해 있습니다. 즉, 남극은 북극보다 지구의 중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더 차가운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

    2. 대륙성: 남극은 북극보다 대륙성이 더 강합니다. 즉, 남극은 땅이 매우 넓은 대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다에서 올라오는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대륙을 만나면 급격하게 냉각되어서 기온이 떨어지게 됩니다.

    3. 해빙: 북극은 바다 위에 떠있는 얼음이 많지만, 남극은 대륙에 걸쳐 있는 해빙이 많습니다. 즉, 남극은 바다 위에 얼음이 떠있는 것이 아니라 대륙 자체가 얼어붙어 있기 때문에 바다에서 나오는 따뜻한 공기가 대륙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많이 냉각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남극은 북극보다 더 추운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 남극과 북극을 비슷하게 생각하지만 북극은 바다가 꽁꽁 얼어붙어서 육지처럼 보일 뿐이고, 남극은 얼음으로 덮인 대륙이다. 남극이 북극보다 추운 이유는 북극이 바다인 데 비해 남극은 대륙이기 때문이다. 남극의 연평균 기온은 영하 49.3℃이며 동ㆍ남부 고원 지대에서는 영하 75℃까지 내려간 일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관측된 자료 중 최고치는 러시아의 보스토크 기지에서 1983년 7월 21일의 영하 89.2℃가 관측되었다고 한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과 남극의 지형적인 특성이 기온 차이가 나는 매커니즘을 살펴보겠습니다. 흔히, 북극은 대륙으로 둘러싸인 대양이고 남극은 대양으로 둘러싸인 대륙이라고 말합니다. 남극은 대륙이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북극은 대륙이라는 말을 쓰지 않습니다. 북극은 대부분 바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북극은 땅이 있는 것이 아니라 북극해 주변의 바다가 얼어서 거대한 얼음덩어리가 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북극이 줄어든다는 이야기는 이 바다에 떠 있는 거대한 얼음이 녹아 면적이 줄어들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반면에 남극은 땅이 있고 그 위를 빙하가 덮은 상태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좌)북극 (우)남극>


    이런 지형적인 차이는 남극을 더 추운 곳으로 만듭니다. 남극은 하나의 대륙으로 이뤄져 있어 열을 쉽게 방출하는 데다 빙하로 뒤덮여 있어 태양열을 90% 가까이 반사 시킵니다. 또한 남극의 겨울에는 강한 바람이 자주 발생하여 주변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열을 막아버리는 것이 기온을 낮추는데 일조를 하고 있습니다.



    <남극 대륙>


    북극은 남극과 달리 대부분 바다(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을 오래 잡아 둘 수 있습니다. 물이 육지보다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바다는 온도가 쉽게 변하지 않습니다.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이런 물과 육지의 물질 특성 차이로 해양풍, 대륙풍이 발생한다고 가르칩니다. 바다가 육지보다 좀 더 서서히 식는다는 것이죠. 남극 육지에서보다 북극 바다에서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북극이 좀 더 따뜻합니다. 게다가 북극 아래쪽 대서양에서 북극해로 흘러들어오는 난류도 북극의 기온을 어느정도 유지시켜주는데 기여를 합니다.




    <북극 빙하>


    결론적으로 남극과 북극이 같은 일사량을 받는다 할지라도 남극과 북극의 지형적인 차이로 인해 북극이 남극보다 좀 더 높은 열용량을 가지고 있어서(열 보관을 더 잘해서) 남극이 상대적으로 더 추운 지역이 된 것입니다. 북극곰보다 남극 펭귄이 더 혹독한 환경에서 살고 있었네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이 북극보다 더 추운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지리적 위치와 지형적 특성입니다.

    첫째, 남극은 북극에 비해 더 높은 지대에 위치해 있습니다. 대부분의 부근지역이 해발 2,000m 이상으로 높은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공기가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바다의 열전도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남극 대륙 주변 해역은 한겨울에는 바다얼음이 형성되어 있어서, 바다가 지면을 가리고 있어서 지면이 빠르게 차가워질 수 있는 대륙과 달리, 대류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둘째, 남극은 북극에 비해 대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륙적인 특성은 바다와 대륙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서 대륙의 내부까지 차가워질 수 있는 냉기의 발생원이 됩니다.

    셋째, 북극에는 대서양 해류인 북극해류(North Atlantic Drift)가 흐르면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기후를 가져옵니다. 그러나 남극 주변에는 대서양 해류와 비슷한 남극해류가 흐르면서, 차가운 물이 유입됩니다. 따라서 북극보다 더 추운 남극의 기후를 만들어내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남극은 북극보다 더 추운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은 남극과 북극을 비슷하게 생각하지만 북극은 바다가 꽁꽁 얼어붙어서 육지처럼 보일 뿐이고, 남극은 얼음으로 덮인 대륙이다. 남극 대륙은 지구 상에서 가장 추운 곳으로 단단히 준비하지 않으면 얼어 죽기 십상이다. 남극이 북극보다 추운 이유는 북극이 바다인 데 비하여 남극은 대륙이기 때문이다. 남극의 연평균 기온은 영하 49.3℃이며 동ㆍ남부 고원 지대에서는 영하 70℃까지 내려간 일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관측된 자료 중 최고치는 러시아의 보스토크 기지에서 1983년 7월 21일의 영하 89.2℃가 관측되었다고 한다.

    바다보다는 땅이 더 춥네요. 우리가 살고 있는 모든 대륙이 비슷한 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과 북극은 두 영역다 태양의 영향이 거의 미치지 않는영역이기에 평균 기온은 항상 영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북극지방의 평균기온은 보통 영하40도 인데, 남극지방의 평균기온은 영하60도에 정도입니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북극은 북극해주변의 바다가얼어 거대한 얼음덩어리도 되어있고, 남극은 땅위에 빙하가 덮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온도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 지형적인 차이에 의해 온도차이가 남.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