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엉뚱한호랑이607
엉뚱한호랑이607

주식이든 코인이든 거래소에 시세?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식이든 코인이든 거래소가 있자나요

거래소에 보면 각 주식,코인들의 시세가 있는데

이러한 것은 초반에 어떻게 정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코인도 주식과 마찬가지로 초반에 상장할때 상장가가 있어요.

    그리고 그 상장 시초가에 매수 매도가 반영되어 시세가 결정되는 구조는 주식과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시장 투자자들에 의해 정해집니다. 1000원에 사려는 사람 그리고 팔려는 사람이 가장 많으면 이게 시세가 되고 1000원에 사려는 사람이 다 없어지고 더이상 안팔리면 990원으로 팔려는 사람거만 있어서 이게 팔립니다. 그러면 시세가 이렇게 내려가게 됩니다.

  • ✅️ 초기 상장될 때, 총 발행 주식, 코인 숫자 및 가치를 산정해서 1주(1코인)당 가격을 정하게 되며, 주식은 증권사를 통해 IPO & 청약을 진행하지만 코인은 별도로 이런 IPO & 청약은 없다는 점이 차이점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은 공모가를 통해 초기 시세가 결정됩니다. 공모가는 기업의 재무 상태, 성장 전망,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책정됩니다.

    코인은 ICO (Initial Coin Offering) 새로운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투자자들에게 코인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ICO 가격이 초기 시세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해주신 주식이든 코인이든 거래소 시세에 대한 내용입니다.

    상장할 당시의 가치는 거래소가 결정해서

    상장하게 되고

    그 시세에서 거래가 시작됩니다.

  • 위와 같은 주식이나 코인 가격 등은 발행수량과 더불어서 해당 가치 등을 고려하여 시장에서 평가한다고 보시면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주식과 코인의 최초 상장시 시세가 궁금하시군요.

    주식의 경우 증권사를 통해 상장심사가 이뤄지게 되고 재무재표 및 실사를 통해서 주식상장시의 기업가치평가에 대한 가치를 주식에 반영하여 가격을 측정 상장하게 됩니다. 코인의 경우는 발행량 및 수요공급 등의 가치평가를 통해서 거래소마다 측정 후 가격을 정하고 상장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은 오전 동시호가때 사자 팔자 호가를 넣어서 아침 시작가가 정해지고 코인은 24시간 거래중이라 매수매도 걸려있는호가에 따라가는 쪽에 체결이 되는거죵

  • 안녕하세요

    주식이나 코인의 초기 가격은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먼저 기업 공개 또는 암호화폐 출시 시에는 발행량과 판매량, 그리고 이에 따른 수요와 공급에 의해 가격이 정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가고파요님,

    코인의 경우 크게 2가지 형태로 거래소에 상장 시 가격이 세팅이 됩니다.

    코인이 어느 거래소에나 처음 상장 하는 경우에는 재단이 발행 할 때 프라이빗세일 가격 또는 재단이 적절한 가격을 정하는 경우가 있고, 덱스에서 오래동안 거래 되는 경우에는 상장 전 덱스에서 가장 최근의 가격이 반영되기도 합니다.

    만약에 다른 거래소에서 이미 거래가 되고 있다가 상장 하는 경우에는 상장 전 가장 최근의 다른 거래소 가격을 반영하기도 합니다. 특히 해외거래소에서 오래 동안 거래가 되다가 국내 거래소로 상장 되는 경우에는 꼭 과거 해외거래소 가격을 보고 거래를 해야 되겠습니다. 직전에 이미 펌핑 되어진 가격 그대로 국내로 옮겨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 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식이나 코인 초반 시세는 주식의 경우 기업 공모가로, 코인의 경우 초기 거래소 상장 초기 가격으로 정해집니다.

    주식 공모가는 기업 가치를 평가한 후 투자자들 수요를 반영해 결정되고 코인 초기 가격은 개발자, 초기 투자자, 그리고 시장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 주식시장을 많이하다보니 주식시장 중심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처음 시장에 상장을 할때 기준을 정해서 가격을 설정합니다.

    그 가격 기준은 보통 유사 경쟁업체나 동종업계의 기업들 주식가치를 기준으로 하는데 보통은 per을 주로 사용하고 pbr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주가수익비율 상 비슷한 수준으로 해서 총 주식발행량을 가지고 계산을 하면 어느정도 적정 주가가 계산됩니다. 거기에 청약 투자자의 수요에 따라 약간 조정을 하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