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미술 특징이 있을까요?
왠만하면 근현대사나 그래픽 디자인 쪽으러 적고 싶은데 현대 미술을 사람마다 다른 것 같아서 적기가 힘들어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
한국 근현대 미술의 특징으로, 식민지 시대의 민족의식에 의해 전통화법을 계승하려는 노력과 서양 미술 기법을 받아들여 새로운 표현 방식을 모색했음이 드러나고, 또 해방 이후 혼란 속에서 서구의 다양한 미술 사조도 유입되면서 전통,현대, 동양과 서양의 조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1970~80년대에는 권위주의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새로운 매체와 표현 방식을 탐구하며 실험적인 경향을 보이며, 특히 민중 미술에서 사회 비판 메시지를 담으며 큰 반향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며 한국 미술은 국제 무대에도 적극적으로 친출하면서 다양한 주제,장르 등을 담는 등 보다 다원주의적 경향을 띠게 된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한편 일본의 근현대 미술로는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화가 수용되면서 서양의 아카데미즘 미술 기반에 일본의 특성을 살린 작품의 경향이 두드러지고, 그 속에서도 일본 전통 미술의 가치를 재해석하고 현대적으로 계승하려는 노력이 이어졌습니다.
20세기 초 일본 미술은 인상주의, 표현주의, 초현실주의 등 다양한 서구 미술 사조를 받아들여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이 여깃 일본전통의 맥락에서 수용하고 발전시켜 독자적인 표현 방식을 이루었으며, 1960년대에 일본 미술은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아 절제된 형태, 아이디어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모노하 운동이 이러한 흐름의 대표적인 줄기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나라별 개별 작가를 찾아서 비교해봐도 각각의 특징을 더 잘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