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개와 관련된 문제를 푸는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문제 풀이를 여러번 봤는데도 이해가 안되고 인터넷으로 모르는 용어를 찾아봤는데도 이해가 안되서 질문드립니다.
1. 외상매출금과 당좌예금, 받을어음이 무엇인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2. 첫번째 분개에서 (차) 현금 30만원 (대) 외상매출금 30만원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3. 두번째 분개에서 (차) 당좌예금 30만원 (대) 현금 30만원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4. 두 분개를 결합하면 (차) 당좌예금 30만원 (대) 외상매출금 30만원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1. 외상매출금 >> 제품, 상품 등을 판매함으로서 판매 대금을 받을 권리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다른 말로는 매출채권이라고도 합니다.)
당좌예금 >> 예금 계좌에 대해서 수표, 어음으로 인출도 가능한 계좌.. 정도로 보시면 될텐데, 그냥 보통 예금이라고 생각하셔도 문제풀거나 공부하시는데 큰 무리는 없으실 겁니다.
받을 어음 >> 위에서 말씀드린 외상 매출금에 대해서 거래처가 특정 기간(30일, 60일 등..)이후에 지급을 약속한 법적 권리가 있는 문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흔히 말하는 부도 났다고 하는 표현이, 받을 어음의 지급 기일이 되었는데, 거래처가 돈을 지급하지 못하면 부도가 발생했다. 이런 개념입니다.
2. 현금을 수령하였으니, 현금이라는 자산을 보유(자산이 증가) 하게 되므로, 자산쪽인 차변에 현금이 30만원 증가하고, 그에 따른 대가로 자산이 외상매출금이 감소하였으므로, 대변에 외상매출금이 오게 됩니다. 아마 회계 원리에서 배우셨을건데, 자산의 증가는 차변, 자산의 감소는 대변에 위치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두번째 분개는 첫번째 분개에서 나온 현금을 현찰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당좌 예금에 넣는 분개입니다, 즉, 당좌예금이라는 자산이 증가하고 현금이라는 자산이 감소하는 것을 차변 당좌 예금, 대변 현금으로 기재한 것입니다.
4. 첫번째 분개와 두번째 분개를 같이 나열하면
차변 ) 현금 30만 대변 ) 외상매출금 30만
차변 ) 당좌예금 30만 대변) 현금 30만
이렇게 되는데, 결국 현금은 차변 . 대변에 같이 위치하므로 상게가 가능합니다..
즉, 외상매출금의 회수로 현금이라는 자산이 증가하였으나, 당좌예금이라는 자산의 증가로 현금이라는 자산이 바로 감소하므로, 현금은 증가와 동시에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하여 장부상에 미치는 영향이 없게 됩니다. 따라서 하기와 같은 분개만 남게 됩니다.
차변) 당좌예금 30만 대변 ) 외상매출금 30만
원하시는 답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세무사입니다.
1. 너무 깊게 이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외상매출금과 받을 어음은 모두 매출이 발생했으나 아직 돈을 못받은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당좌예금은 일반 예금통장입니다. 현재 상황은 매출이 발생했으나 아직 돈을 받지 못한 상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2. 외상매출금 30만원을 현금으로 받았으므로 해당 분개가 적용됩니다. 자산이 증가하면 차변에, 자산이 감소하면 대변에 기입합니다. 외상매출금이 현금으로 대체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3. 현금으로 받아서 예금에 넣었으므로 예금 30만원이 증가하고, 현금 30만원이 감소한 것입니다. 2번처럼 현금이 예금으로 대체된 것입니다.
4. 2번과 3번의 분개를 보시면 현금이 차변과 대변에 모두 기재되어있습니다. 이를 상계하면 (차)당좌예금 30만원 (대) 외상매출금 30만원만 남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백승호 세무사입니다.
외상매출금과 받을어음은 회사가 매출을 하고 상대방으로부터 금전을 지급받을 수 있는 채권을 말하는 것이며 당좌예금은 일반적으로 예금계좌를 뜻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