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에서 이 상황을 뭐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A와 B의선택중 A를 선택했다고 가정 (A의 길을 선택하고도 약간의 손해를 감수하면, B로 바꿀수있다.)
A의 선택이 시간이 지남에따라 더욱 손해가 될 수도, 이득이 될 수도 있는 상황속에 놓여있지만
계속해서 기다렸더니 B로 돌아가기에도 기다린 시간(비용)이 점점 많아져서 아깝고, 그렇다고 계속 기다리자니 손해가 커질 것 같은 상황이 되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 기다리면 기다릴수록 어떤 리스크? 비용? 이 커진건가요?(이 단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몰비용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매몰비용은 경제학에서 이미 발생하여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A와 B의선택중 A를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B가 더 좋아보일 때에도 A에 투자한 것이 있어서 B 로 넘어가지 못하는 상황이면,
A가 매몰비용이 됩니다.
공무원 시험으로 비유하자면 '공무원 시험을 치기까지 공부해온 시간'이 매몰비용이 되고, 공무원 합격 가능성이 적거나, 다른 일자리를 구할 수 있음에도 시험을 공부한 시간이 아까워 시험을 계속 치르는 경우 매몰비용의 오류에 빠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회비용이라 합니다. 기회비용이란 선택에 따른 진정한 비용으로,‘ 여러 대안들 중 하나의 대안을 선택할 때 선택하지 않은 대안들 중 가장 좋은 것, 즉 차선의 가치’를 말합니다. 기회비용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비용을 고려해서 신중한 결정을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그런데 신중한 결정 과정에서 오히려 고려해서는 안 되는 비용도 있습니다. 바로 매몰비용이 그렇습니다. 매몰비용이란 이미 투입되어 다시 회수할 수 없는 현재로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합니다. 따라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이 말씀주신 내용은 하나의 선택을 하게 되면서 다른 선택을 하지 못하였던 것에 대한 비용을 의미하는 '기회비용'에 대해서 말씀주신 것 같습니다.
기회비용은 A라는 선택을 하게 되어서 B나 C를 선택하였을시에 얻게 되었을 손익을 계산하어 어떤 선택이 경제적인 비용관점에서 나은선택이었는지를 비교하게 되는 방법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콩코드 효과로 보여집니다.
손실이 날 것을 예상하고도 지금까지의 투자가 아까워
그만두지 못하는 현상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확하진 않지만 문맥의 느낌상 "기회비용"을 질문하시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확한 상황은 아니지만 '매몰 비용'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지금까지 어떤 곳에 자금과 시간을 투입한 것이 아까워서, 지금 그걸 포기하고 다른 선택을 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음에도
기존 것을 포기하지 못하고 계속 하게 되는 경향이 있죠.
이 때 이 비용을 매몰 비용이라 부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