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인간이 장거리 이동에 특화된 이유는 뭔가요?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서 신체적 이점이 약합니다. 그래서 다른 동물에 비해서 정말 느린 속도인데요. 그렇지만 인간만큼 장거리 이동에 특화된 생물이 거의 없다고 하던데, 인간이 장거리 이동에 특화된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간이 장거리 이동에 특화된 이유는 이족 보행과 관련된 효율성과 진화적 특성,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생리학적인 특성 때문입니다. 인간의 이족 보행은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네 발로 움직이는 동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로 더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족 보행에서 균형을 잘 잡기 위해 인간은 큰 엉덩이 근육과 긴 다리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장거리 달리기에 이상적입니다. 효율적으로 보폭을 갖게되고 긴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움직이기 용이한 구조입니다.

  • 인간이 장거리 이동에 특화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생물학적 특징을 보면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발에 땀샘이 있어 몸을 식힐 수 있었고 이는 장거리 이동 시 몸온도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인간의 발바닥은 탄력적이고 쿠션 역할을 하여 걷거나 뛰는 동안 충격을 흡수합니다. 이는 장거리 이동 시 발과 다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또 인간의 엉덩이는 넓어 다리 근육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이 근육들은 걷거나 뛰는 데 필요한 힘을 제공했으며 인간의 발에는 발뒤꿈치 아치가 있어 충격을 흡수하고 발목을 안정시키고 이는 장거리 이동 시 발목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진화적 이유도 있습니다.

    초기 인간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넓은 지역을 이동해야 했습니다. 장거리 이동 능력은 더 많은 먹이를 찾고 좀 더 높은 생존율을 가질 수 있게 했었죠. 또한 포식자로부터 도망치기 위해서도 장거리 이동 능력이 중요했습니다. 말씀대로 인간은 약하기 때문에 빠르게 달릴 수 있는 능력은 생존에 필수적이었습니다. 그리고 기후 변화나 먹이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인간들은 새로운 지역으로 이주해야 했기에 장거리 이동 능력은 새로운 서식지를 찾고 번식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물론사회적 요인도 한 몫했습니다.

    무역과 전쟁, 새로운 지역으로의 탐험 등이 그것이죠.

    결론적으로, 인간이 장거리 이동에 특화된 이유는 생물학적 특징, 진화적 요인, 사회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 인간은 다른동물들과 다르게 오랜시간 빠르게 달리거나 천천히 오랫동안 걷는것이 가능한 지구력이 높은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원시시절 멀리있는 사냥감을 잡으러 가거나 가축들과 무리생활을 하던 인원들이 이동하며 생활했던 방식에 의해 발달한 특징이라고 합니다.

    또한 순간적인 힘을 필요로하는 상황보다 이렇게 장거리로 이동하며 두뇌를 쓰고, 도구를 사용하며 생활하는 기간이 더 길다보니 자연스럽게 지근이 발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과거의 사냥 방식 자체가 어차피 인간보다 월등히 빠른 동물들을 사냥하기 어려우니 인간은 해당 동물을 놓치지않고 계속 끈질기게 추적해가며 결국에는 잡는 방식으로 행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간은 지구력을 늘리는 방향으로 진화해왔다고 합니다.

  • 인간이 장거리 이동에 특화된 이유는 두 가지 주요 요인 때문입니다. 첫째, 인간은 직립보행이 가능하여 에너지 소모가 적습니다. 이는 장거리를 이동하는 데 유리합니다. 둘째, 인간은 발한작용을 통해 체온조절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동물들은 열을 발산하기 위해 멈추고 휴식을 취해야 하지만, 인간은 걸으면서도 발한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리적 특성으로 인해 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오랜 시간 동안 중단 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인간은 장거리 이동 능력이 탁월해져 광대한 지역으로 이주하고 정착할 수 있었습니다.

  • 인간은 과거부터 먼곳을 이동하며 무리생활을 하거나 농경이나 수렵생활을 해왔기때문에 장거리 이동능력인 지구력에대한 부분이 크게 발달했다고합니다.

    그래서 지구력을위한 적색근육의 부피가 비대해지고, 순간적인 힘을내는 백색근육이 줄어들며 현재와같이 순간적인 힘은 약하지만 오랜시간 움직임이 가능한 신체를 얻게되었습니다.

    이러한 근육의 발달은 두뇌의 발달로인해 큰 힘이 필요없어지고 도구사용이나 함정의사용 등등을통해 최소한의 힘과 지구력, 정신력정도만 요구되었기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전 지구상에서 지구력이 높은 동물중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있는것이 바로 인간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인간이 장거리 이동에 특화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우리 신체입니다. 사람은 키가 상대적으로 크고 직립된 신체를 갖는데 이는 호흡과 더불어 큰 표면적으로 인해 냉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은 두꺼운 털이 없으면서도 땀을 흘릴 수 있고 땀도 쉽게 증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먼저, 인간은 뛰어난 지능과 추상적 사고 능력을 가지고 있어 긴 거리를 계획하고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두 다리는 보행에 최적화되어 있어 오랜 시간 동안 걷거나 뛸 수 있습니다. 더불어 우리의 체온 조절 능력과 땀 분비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 중에도 체온을 유지하고 수분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 인간의 신체 능력이 다른 동물들에 비해서 발달된 것은 아니지만, 인간은 도구를 사용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운송 수단을 발명하여 장거리 이동을 용이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기술과 도구는 장거리 이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