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

갤로핑인플레이션은 어떠한 현상을 말하는 것인가요?

경제관련 용어중에 갤로핑인플레이션(galloping inflation)은 어떠한 현상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갤로핑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률이 통제할 수 없이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는 초인플레이션의 일종으로, 인플레이션율이 걷잡을 수 없이 치솟는 상황을 말합니다. 극도로 높고 가속화되는 인플레이션율을 특징으로 하며, 종종 한 달 또는 심지어 일주일에 50%를 넘기도 합니다. . "galloping"라는 용어는 가격 상승의 급속하고 멈출 수 없을 것처럼 보이는 속도를 가리킵니다.

      물가가 급등하는 시나리오에서는 화폐 가치가 급격히 떨어져 물가가 빠르게 상승하는데 이는 화폐의 구매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국민들의 저축과 임금이 점점 더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인으로 중앙은행들이 통화공급과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통제하지 못해 물가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가 대규모 재정 적자를 운영하고 돈을 찍어 자금을 조달할 때, 이것은 통화 공급과 인플레이션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연 재해, 전쟁 또는 다른 요인들로 인한 상품과 서비스의 부족은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러-우 전쟁과 비슷한 경우) 경우에 따라 정치적 불안정은 정부에 대한 신뢰와 경제 운영 능력의 상실로 이어져 높은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갤로핑 인플레이션은 만성적 혹은 악성 인플레이션이라고도 불리는데요. 물가상승률이 10% 이상 혹은 수십%까지 지속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갤로핑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일단 저축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됩니다. 저축을 해서 5% 금리를 받는 것이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업들도 금융자본에 투자를 하게 되어 장기적인 성장에 걸림돌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