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하얀호랑이260
하얀호랑이260

전염병 및 감염병과 관련된 질문 가능한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5

게임 제작과 관련하여 스토리를 구성하던 중, 현실적인 의학적 통계가 필요해서 관련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감염내과를 전문의로 하시는 분이시라면 가장 좋지만, 다른 분야의 전문의를 전공하신 분들이라도 의사분들의 현실에 기반한 통계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산출한 의사 개인의 조언 및 데이터 또한 환영합니다.


1. 전염병이나 감염병을 매개체로 하는 "인류 절멸"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인공적인 생물학 무기"가 있다고 가정할 시 2023년의 전 세계 인구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감염률과 치사율이 가장 이상적이고 적절한 비율일까요? 확률 단위로 적어주시면 감사합니다. (%)


2. 1의 질문에서 이어지며, 전염병의 종류(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는 어떤 것으로 하면 가장 범용적이고 효율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는지 하나 골라주실 수 있나요?


3. 과거에 존재했거나, 또는 현재 존재하는 전염병 중 "인류 절멸"에 가까웠던 전염병은 무엇인가요?


3번을 제외한 1번과 2번 질문은 관련된 논문이나 기사를 작성하기 위함이 아닌 어디까지나 "게임 스토리"에 적용될 전문가의 "조언"이기에 부담없이 말씀해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질문에 응해주신 의사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저도 게임을 자주 즐기는 입장에서 가볍게 설명드린다면 기존 세계관에서 백신의 개발 능력이나 속도를 어떻게 측정하시느냐에 따라 다를것 같습니다.

      1. 백신 개발 능력이 해당 균에 대해 높은 상태라면 감염률 및 치사율이 모두 높아야 사람들이 빨리 걸리고 빨리 사망하게 되어 멸종의 단계까지 이를 수 있겠습니다.

      이 과정에서 감염 후 사망까지의 시간이 너무 짧다면 감염률이 아무래도 떨어질 것이고 사망까지의 시간이 너무 길다면 그사이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실제로 에볼라 바이러스의 경우 치사율이 굉장히 높지만 그만큼 전염될 기회가 적어 전세계로 퍼지지 않았습니다.

      감염률 치사율 모두 높게 설정하시되 감염 후 사망까지 기간을 1~3개월 정도로 조절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굳이 꼽자면 바이러스가 변이가 잦기 때문에 더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겠고 사람을 대상으로 하신다면 인수 공통 감염이 가능한 바이러스이면서 조류를 통한 바이러스가 더 퍼지기 쉽겠습니다.

      3. 인류 역사상 가장 위험했던 전염병은 수치상으로는 흑사병이나 당시 위생개념이 굉장히 좋지 않았으므로 현재의 상태와 비교한다면 비교에 어려움이 있겠습니다.

      좋은 게임 제작하시길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