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스포츠·운동

야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야구 할푼리 계산을 어떻게하나요??

야구를 보다보면 타자나 투수나 할푼리 숫자가 나오던데요

그할푼리는 어떻게 계산을 해야하는것인지

쉽게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타율을 어떻게 계산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타율=안타/타수입니다.

    즉 70안타를 친 선수가 150번의 타석에 들어섰다면

    70/150입니다.

    그렇다면 이 선수는 0.467의 타율이 됩니다.

  • 야구에서 할푼리라고 하는 것은 소수점을 일본식 한자어로 읽는 것일 뿐입니다.

    예를 들어 0,37562을 읽을 때에 '영점 삼칠오육이'라고 읽지 않고 '3할7푼5리6모2사'로 읽는 것이죠.

    타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안타÷타수'를 계산하면 됩니다.

  • 야구에서 타율 계산은 전체 안타수를 전체타수로 나눈 값 입니다.

    예를 들어 11번 타석에 나가 1번은 볼넷, 3번은 안타를 쳤다면 이 사람의 타율은 3할이 됩니다.

    안타수가 3, 타수는 10타수로 기록됩니다.

  • 질문자님이 말씀을 하신 타율의 경우 할푼리로 이야기를 하고 투수는 방어율을 이야기 할 때 할푼리로 표현을 하지는 않습니다.

    타격의 경우 10타수 10안타면 10할.. 1안타면 1할.. 이런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투수는 9이님 무실점이면 방어율0.. 1실점이면 방어율1 . 9이닝 2실점이면 방어율2가 되는 겁니다.

    (투수 자책점*9[이닝]) / 등판 이닝수로 방어율이 계산됩니다.

  •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야구의 타자 타율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일본식으로 할(割)은 비율 0.1(=10%)이다. 그리고 할을 1로 보아 푼(分)은 할의 1/10, 리(厘)는 할의 1/100로 쓰입니다. 따라서 10번 나와서 1번 치면 1할입니다.

  • 야구에서 할푼리는 주로 타율이나 방어율 같은 기록을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타율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타자는 안타를 획득한 수를 타석에 들어선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25번의 타석에서 9개의 안타를 쳤다면 타율은 9 나누기 25, 즉 0.360이 됩니다. 이 숫자를 '3할 6푼'이라고 표현합니다. 쉽게 말해 소수점 이하의 첫째 자리 숫자는 할, 둘째 자리는 푼, 셋째 자리는 리를 의미합니다. 방어율도 비슷한 원리로 계산되며, 투수가 경기당 평균 실점 수를 계산하여 표현하죠. 계산해보시면 조금 더 와 닿으실 거예요!

  • 타자의 할푼리는 안타 개수 ÷ 총 타석수이며 투수의 방어율은 자책점 ÷ 총 투구 이닝 수가 되겠습니다.

    여기에 희생 플라이나 실책에 의한 실점은 들어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