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시조가 고려 중기에 발생했다고 하는데, 그 근거가 되는 작품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고전문학 가운데에서 시조는 고려 중기에 발생하여 조선시대에 많이 창작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고려 중기에 발생했다고 했을 때 그 근거가 되는 작품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조의 기원에 대해서 학자에 따라 설이 다르며

    크게 한시(중국시)의 영향을 받았다는 외래연원설과

    국내에서 창조된 형식이라는 재래연원설이 있구요

    재래연원설도 신라향가, 무녀들의 신가, 고려별곡의 반동 등 다양한 추측이 있습니다

    다만 현존하는 시가집들, 청구영언이나 고금가곡 등에서

    조선시 뿐만 아니라 이전시대의 시들 또한 몇몇 수록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현재의 시조와 유사한 형식을 보이는 것들의 창작시기가

    고려말~조선초에 모여있기 때문에

    그때 시조형식이 정립되었을 것이라는게 정설인 것입니다

    고려기의 시조작가로는 우탁, 이조년, 이색, 최영,길재,원천석 등이 있으며

    그 유명한 태종 이방원과 그가 죽인 정몽주도 시조를 쓴 적이 있습니다

  • 시조는 고려 중기 혹은 후기에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시인은 우탁 (禹倬: 1263~1343)인데 고려 충선왕 (忠宣王)~충숙왕 (忠肅王) 때의 학자의 < 탄로가> 가 대표적인 시조인데 < 병와가곡집> 이라는 책에 전해 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