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도 급이 나눠져 있는데요 급을 나누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회복지사 시험을 본다는 분이 계셔서 알아 보니
사회복지사도 급으로 나눠져 있더라구요
1급. 2급. 3급 이런 식으로 나눠져 있는데 왜 이런 식으로 나눠 왔는지 궁금합니다.
사회복지사의 급수가 나눠져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좀 더 전문성을 갖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급수에 따라서 이수 기간이나 학점이 달라집니다.
현재 3급 과정은 폐지되었습니다.
2급 같은 경우 51학점(실습 포함 27과목)
1급은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을 해야 취득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유미림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을 급으로 나누는 이유는 전문성과 숙련도를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필요한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 2급은 기본적인 사회복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며 보통 학점은행제나 대학 과정을 통해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 1급은 더 높은 수준의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하고 사회복지사 시험으로 자격을 취득해야 하는데 관리자나 상담가로서의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과정입니다.
- 3급은 과거에 존재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으며, 1급과 2급만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에 대한 자격증을 가지고 활동하는 사람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아동, 청소년, 노인, 여성, 가족, 장애인 등 다양한 사회적 개인적 문제를 겪는 사람들에게 사회복지학 및 사회 과학의 전문지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진단하고 평가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돕고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회복지사 1급 인력의 필요로 사회복지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분야가 많습니다.
의료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사, 교정사회복지사, 군사회복지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등
또한, 국민연금관리공단, 사회단체, 노동부 산하 고용안정센터 등 지역사회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사 1급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 1급은 국가고시 자격 시험을 합격해야 하고 2급은 일정 교과목 이수하면 자격증이 부여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 1급은 전문인력으로 상위 자격증입니다.
사회복지사 1급 - 사회복지학과 학위를 가진자로써 국가자격증을 통해 취득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 + 실무경력 1년)
사회복지사 2급 - 고졸 이상 동등학력을 가진자로써 이론교육 + 실습교육 이수 후 취득.
(고졸, 초대졸, 대졸 이냐에 따라 이수해야 하는 과목이 다름)
사회복지사 3급 - 2018년 폐지.
안녕하세요. 안광진 사회복지사입니다.
학점은행제로 2급을 취득 시 1년 이상의 사회복지 분야 경력을 갖춘 뒤
1급 국가자격증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급을 나누는 이유로는 좀 더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시험과 과정으로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종숙 사회복지사입니다.
3급은 전에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진거 같고요
2급이 대부분이고
의료쪽등에서1급을 원하는곳이 있습니다
기준은 필요해서 한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장이 사회복지사입니다.
사복 2급은 전공과목과 실습을 통해
보건복지부장관 자격으로 주어지며
보통 주보센터 요양원등 에 취업을 하며
1급은 1월 에 국가시험 으로 치뤄지며
복지관 등에 취업을 많이 하죠
실제로 급여차이는 ᆢᆢ 만무하네요
안녕하세요. 엄자영 사회복지사입니다.
질문하신 사회복지사도 급이 나뉜 것에 대한 답변입니다.
우선 사회복지사는 2급, 1급으로 나뉘어 졌습니다.
2급에서 어느 정도 경력을 쌓고 시험을 치루면 바로 1급 자격증도 취득이 가능합니다.
1급은 보다 넓은 영역에서 사회복지사로 활동할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