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의로운표범246
의로운표범24622.01.04

콜레스테롤약은 다른약과 같이 먹어도 되나요?

콜레스테롤이 높아 근 1년째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약을 먹고 있습니다. 이 약을 먹을 때 다른약과 같이 먹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약 + 종합비타민약을 한번에 먹는 게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고지혈증약은 다른 약이랑 같이 먹어도돼요.

    종합비타민제 같은 영양제를 드실때는 밥먹고 바로드시구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콜레스테롤약을 드시면서 종합비타민을 드셔도 됩니다. 콜레스테롤 약이 소실시키는 영양소를 보충시켜줄 수 있으며 근육통, 피로 등을 예방해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청 약사입니다.

    비타민 종류는 고지혈증 치료제와 크게 상호작용은 없습니다. 하지만 고지혈증약 자체는 간의 특정효소의 기질이 되거나 효과를 억제 혹은 상승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면 항바이러스제, 위장약, 항간질약 등) 그러니 처방을 받으실때 다른 약과의 상호 작용이 있는지를 꼭 물어보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문제가 없습니다.

    건강보조식품은 치료용 약이 아니므로 다른 약과 상호 복용하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서로 상충되는 성분이 없으므로 특별히 문제가 없다면 같이 복용하더라도 상관이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콜레스테롤이 높아 근 1년째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약을 먹고 있습니다. 이 약을 먹을 때 다른약과 같이 먹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콜레스테롤약 + 종합비타민약을 한번에 먹는 건 문제 없어요

    - 주의할 약은

    -----------------------------------------------

    상호작용
    1) 강력한 CYP3A4 억제제 : 이 약은 CYP3A4에 의하여 대사된다. 강력한 CYP3A4 억제제와 이 약의 병용은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장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호작용 범위와 효과의 증강은 CYP3A4에 변동성 효과에 의존한다.

    (1) 에리트로마이신, 클래리트로마이신 : 건강인의 경우 아토르바스타틴과 CYP3A4 억제제로 알려진 에리트로마이신(1일 4회 500 mg) 또는 클래리트로마이신(1일 2회, 1일 500 mg)과 병용시 아토르바스타틴 혈장농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클래리트로마이신을 투여하는 환자에서 이 약 20 mg 이상을 투여하는 경우 주의해야 한다.
    (2) 프로테아제 억제제와의 병용: 아토르바스타틴 AUC는 이 약 단독투여와 비교하여 간염C 프로테아제 억제제 텔라프레비르와 마찬가지로 몇몇 HIV 프로테아제 억제제와 이 약의 병용 투여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HIV 프로테아제 억제제 티프라노비르와 리토나비르 병용요법 또는 간염C 프로테아제 억제제 텔라프레비르를 투여하는 환자에게 이 약의 병용 은 피해야 한다.
    HIV 프로테아제 억제제 로피나비르와 리토나비르 병용 요법으로 투여하는 환자에게 이 약을 처방할 때 주의하여야 하고 가장 낮은 용량을 사용해야 한다. HIV 프로테아제 억제제 사퀴나비르와 리토나비르 병용요법, 다루나비르와 리토나비르 병용요법, 포삼프레나비르, 또는 포삼프레나비르와 리토나비르를 병용요법으로 투여받는 환자에는, 이 약 용량이 20 mg을 넘어서는 안되며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넬피나비르를 투여받는 HIV 환자에서, 이 약의 치료는 40 mg을 제한되고, 이 약의 필요 최소 용량이 적용될 수 있게 적절한 임상평가가 권장된다.
    보세프레비르 800 mg, 1일 3회를 7일간 투여하고 6일째 이 약 40 mg, 1일 1회를 병용투여시 이 약의 AUC와 Cmax가 증가하였다(AUC 비율 2.3, Cmax 비율 2.7). 보세프레비르를 투여받는 환자는 이 약 용량이 1일 40 mg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3) 이트라코나졸 : 아토르바스타틴 AUC는 이트라코나졸 200 mg과 이 약 40 mg 병용 투여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이트라코나졸을 투여받는 환자에서 이 약 20 mg 이상을 투여하는 경우 주의해야 한다.
    (4) 다사부비르와 병용하거나 병용하지 않은 옴비타스비르/파리타프레비르/리토나비르: 리토나비르는 강력한 CYP3A 억제제이고, 파리타프레비르, 리토나비르, 다사부비르는 BCRP 억제제이고, 파리타프레비르는 OATP1B1 억제제이므로 다사부비르와 병용하거나 병용하지 않은 옴비타스비르/파리타프레비르/리토나비르를 이 약과 병용 시 아토르바스타틴의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병용해서는 안된다.2) 이 약을 CYP3A4 억제제(시클로스포린,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및 아졸계 항진균제)와 투여할 경우 이 약의 혈장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투여하여야 한다.
    3) 리팜피신 또는 다른 CYP3A4 유도제 : 이 약을 CYP3A4 유도제와 병용 투여시(예. 에파비렌즈, 리팜피신)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리팜피신의 이중 상호작용의 기전 때문에(CYP3A4 유도 및 hepatocyte uptake transporter OATP1B1 억제), 아토르바스타틴과 리팜피신을 병용 투여하는 경우 동시에 투여하는 것이 권장되며, 리팜피신 투여 후 아토르바스타틴을 늦게 투여하면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한다.
    4) 이 약과 혈압강하제 또는 혈당강하제 또는 에스트로겐 대체요법을 병용한 임상연구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할 만한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아직 모든 특이한 제제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된 것은 아니다.
    5) 약물수송체억제제 : 아토르바스타틴과 그 대사체는 OATP1B1간-수송체의 기질이다. 또한, 아토르바스타틴은 유출수송체인 P-글리코프로테인(P-gp)의 기질이다. OATP1B1수송체 및 P-gp의 억제제(예, 시클로스포린)와 병용투여시, 아토르바스타틴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켜, 근육병증과 같은이상반응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토르바스타틴 10 mg과 시클로스포린 5.2 mg/kg/day의 병용투여는 아토르바스타틴의 AUC를 8.7배 노출을 증가시켰다(AUC 비율: 8.7).
    아토르바스타틴을 시클로스포린과 병용투여시 아토르바스타틴의 투여용량은 10 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글레카프레비르 및 피브렌타스비르는 OATP1B1, OATP1B3, P-gp 및 BCRP의 억제제이므로, 아토르바스타틴의 노출을 증가시킨다. 이 약과 병용해서는 안된다.
    1일 아토르바스타틴 20 mg과 레테르모비르 480 mg의 병용투여는 아토르바스타틴의 노출을 증가시켰다(AUC 비율: 3.29). 레테르모비르는 유출수송체 P-gp, BCRP, MRP2, OAT2 및 간수송체 OATP1B1/1B3를 억제하여, 아토르바스타틴의 노출을 증가시킨다. 아토르바스타틴 투여용량은 1일 20 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병용투여 약물에 따른 CYP3A-및 OATP1B1/1B3-매개 약물상호작용정도는 레테르모비르와 시클로스포린의 병용투여와 다를 수 있다. 레테르모비르와 시클로스포린을 병용투여하는 환자에 아토르바스타틴의 사용은 금기이다.
    유방암 내성 단백질(BCRP) 억제제: BCRP 억제제(예, 엘바스비르, 그라조프레비르)와 병용 투여 시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장 농도가 증가하여근육병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최소용량을 주의하여 사용한다. 아토르바스타틴을 엘바스비르 및 그라조프레비르와 병용 투여하는 경우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장 농도가 1.9배까지 증가한다. 따라서 엘바스비르 또는 그라조프레비르 함유제제를 이 약과 함께 투여받는 환자의 경우, 아토르바스타틴의 용량은 1일 20 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5.일반적 주의’항 참조).
    6) 디곡신 : 아토르바스타틴 10 mg과 디곡신을 수회용량 병용시 항정상태의 혈장 디곡신의 농도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80 mg아토르바스타틴을 디곡신과 수회용량 병용 투여 후 항정상태의 혈장 디곡신의 AUC가 증가하였다(AUC 비율: 1.15). 디곡신 투여 환자의 경우 적절히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7) 경구피임제 : 노르에티스테론 및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을 함유하는 경구피임제와 이 약의 병용투여시 노르에티스테론 및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AUC가 증가하였다(각각 AUC 비율: 1.28 및 AUC 비율: 1.19). 따라서, 아토르바스타틴을 투여받는 여성이 경구피임제 선택시 이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8) 콜레스티폴 : 콜레스티폴과 병용투여시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장농도가 낮아졌다(농도비율: 0.74). 그러나 이 약물들을 단독으로 투여하는 경우보다 아토르바스타틴과 콜레스티폴을 병용투여하는 경우 LDL-콜레스테롤 저하효과는 증가하였다.
    9) 제산제 : 이 약과 마그네슘 그리고 수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경구용 제산제(antacid) 현탁액과 병용투여시 아토르바스타틴의 AUC가 감소하였다(AUC 비율: 0.66). 그러나, LDL-콜레스테롤의 감소에는 영향이 없었다.
    10) 와르파린 : 아토르바스타틴과 와르파린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유의적인 상호작용은 없었다.
    11) 안티피린 : 이 약과 안티피린의 수회 용량 병용투여는 안티피린의 청소율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같은 CYP-450 동종효소를 경유하여 대사되는 약제들과의 상호작용은 기대되지 않는다.
    12) 시메티딘 : 시메티딘과 이 약의 상호작용연구에서 상호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13) 아지트로마이신 : 아토르바스타틴(1일 1회 10 mg)과 아지트로마이신(1일 1회 500 mg)의 병용투여는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장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14) 암로디핀 : 건강한 지원자에 대한 약물-약물 상호작용시험에서 아토르바스타틴80 mg과 암로디핀 10 mg 병용투여시 아토르바스타틴의 AUC가 증가하였으나(AUC 비율: 1.18),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는 아니었다.
    15) 테르페나딘 : 아토르바스타틴과 테르페나딘의 병용투여시 테르페나딘의 약물동태에 임상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다.
    16) 딜티아젬 : 아토르바스타틴(40 mg)과 딜티아젬(240 mg)을 병용 투여시 아토르바스타틴 의 혈중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17) 자몽주스 : 자몽주스는 하나이상의 CYP3A4를 억제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자몽쥬스 섭취량이 지나칠 경우(하루 1.2 L이상)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18) 퓨시드산(경구제): 비록 아토르바스타틴과 퓨시드산과의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시험은 실시되지 않았지만, 이 두 약물을 병용투여한 시판 후 경험에서 횡문근융해와 같은 중증의 근육이상이 보고되었다. 이런 환자는 면밀히 모니터링하여야 하고, 아토르바스타틴 투여를 일시적으로 중단한다.
    19) 니코틴산 : 니코틴산과 병용하는 경우 골격근 효과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 약의 감량을 고려해야 한다.
    20) 콜키신 : 비록 아토르바스타틴과 콜키신의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지만, 횡문근융해를 포함한 근육병증의 사례가 이 약과 콜키신과의 병용투여에서 보고되었고, 이 약과 콜키신과 같이 처방 시 주의가 요구된다.
    21) 겜피브로질: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겜피브로질과 병용 시 증가된 근육병증/횡문근융해 위험으로 인해, 겜피브로질과 이 약의 병용은 피해야 한다.
    22) 기타 : 임상시험에서 아토르바스타틴은 혈압강하제 및 에스트로겐 대체요법 약물들과 임상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없이 병용투여되었다. 특정 약물과의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시행되지 않았다.
    23) 다른 피브레이트계 약물 : 다른 피브레이트계 약물과 병용투여했을 때 근병증 위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 투여해야 한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콜레스테롤 저하증약을 드신다면 종합비타민은 필수로 드셔야합니다. 상호작용이 없어서 드셔도 상관없고, 고지혈증약이 비타민과 코엔자임큐텐을 빼앗기때문에 추가로 드시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네 같이 드셔도 됩니다.

    기존에 종합비타민을 같이 드셔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약 뿐만 아니라 혈압약 고지혈증 약도 같이 드셔도 무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혜 약사입니다.

    어떤약이냐에 따라 다르지만

    영양제는 괜찮습니다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약은 드시게 되면

    평생 드시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식습관이나 영양요법 조절로 약을

    줄이시거나 끊는 걸 목표로 하셔야 해요


    물론 약을 임의로 중단하면 절대 안 되고

    담당 의사선생님의 판단하에 조절하셔야 해요


    오메가3, 비타민B, 비타민D, 피크노제놀 등이

    도움이 되며 고지혈증약을 드시는 분들은

    CoQ10을 꼭 보충해주시는 게 좋고

    다양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충분히

    전문가와 상담하에 영양섭취를 하셔야 해요


    제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고지혈증약은 혈중내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는 약으로 의사의 판단하에 임의로 중단하지 말고 복용을 하여야 하며 고지혈증약 복용으로 인한 피로감 및 부작용 예방을 위해 코엔자임큐텐과 비타민비군 복합제 제품 복용을 권장드리며 종합 비타민 복용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콜레스테롤약은 보통 스타틴이 함유된 약을 먹게 되는데, 이러한 약을 먹으면서 종합비타민 권장량 먹어도 전혀 문제되지 않습니다.

    종합비타민 권장량 식사 후에 드셔보시길 바라며, 추가적으로 코엔자임큐텐과 같은 항산화제 드시면 콜레스테롤약 부작용 개선에 도움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희재 약사입니다.

    콜레스테롤 약 드시면서 영양제는 문제 없습니다. 영양제는 약이라기 보다 식품으로 보는게 맞습니다.

    다만 홍국은 주의하시는게 좋습니다. 스타틴이 바로 이 홍국의 모나콜린K에서 유래된것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인배 약사입니다.

    우선 말씀하신 종합비타민과 콜레스테롤 약의 경우 함께드셔도 무방합니다. 콜레스테롤 약을 복용중이신 경우 특히나 약에 의헤 코큐텐이라는 성분이 결핍되기 쉽기 때문에 해당 성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더불어 특정 콜레스테롤 약의 경우 항진균제와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약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고지혈증 약의경우 일부 병용하면 안되는 약들이 있긴합니다.

    영양제들의 경우 권장용량과 용법만 맞추시면 크게 문제업긴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위하여 약을 복용 중이더라도 건강 기능 식품 등을 복용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동맥경화 등의 실질적 원인이 되는 sdLDL 등을 낮추어 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오메가3, LDL 수치는 낮추고, HDL 수치는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오메가7, 혈관의 탄력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이 산화되어 혈관벽에 쌓이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주는 항산화제 등을 같이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스타틴 계열의 약을 복용하는 분들은 스타틴 약으로 인하여 체내 코엔자임큐텐이 고갈될 수 있고, 코엔자임큐텐이 스타틴으로 인한 근육 관련 부작용의 감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코엔자임큐텐을 같이 복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