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6.15

거짓말 탐지기의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영화를 보다보면 거짓말탐지기가 등장하는데

이게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것인가요?

단순한 원리로 거짓말 여부를 판단할 것 같지 않은데 말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명제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 탐지기는 인체의 생체 반응 몇가지를 관찰합니다.

    검사하는 항목은 보통 -> 뇌파, 호흡수, 맥박수, 손에 땀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특정 사실에 대해 질문을 하면서 용의자의 반응을 살피며 자율신경계의 반응으로 교감신경이 작용하는지 (흥분하는지, 초조해하는지, 긴장하는지, 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저러한 지표들을 검사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폴리그래프 검사는 호흡, 심박수, 피부전도성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폴리그래프 검사는 거짓말을 할 때 생체신호가 변화함으로써 거짓말 탐지가 가능하다는 가설에 기반합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뇌 활동을 촬영하여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거짓말을 할 때 뇌 활동이 변화함으로써 거짓말 탐지가 가능하다는 가설에 기반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짓말 탐지기 중 하나는 폴리그래프(Polygraph)입니다. 폴리그래프는 신체의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거짓말을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심박수, 호흡 패턴, 혈압, 피부 전도도 등을 측정하여 거짓말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분석합니다. 거짓말을 하면 불안, 긴장, 스트레스 등과 같은 생리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폴리그래프는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여 거짓말을 추정합니다. 하지만 폴리그래프의 정확도와 신뢰성은 여전히 논의의 여지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탐지기는 사람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입니다.

    사람은 거짓말을 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초조해 하거나 불안해 하고, 공포감을 느끼는 등의 긴장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이러한 긴장상태는 맥박, 혈압, 호흡, 땀과 같은 신체기능의 변화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한 변화는 자율신경계에 의한 반응이기 때문 의도적으로 막기 매우 힘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 탐지기는 생리적인 반응의 변하를 통해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를 가려냅니다.

    호흡 맥박 표정 등으로 알아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탐지기 검사는 손가락, 팔, 가슴, 배 등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데, 사건과 관련된 질문에 응답할 때의 반응을 통해 사람의 피부에 흐르는 전기의 양이 갑자기 치솟게 되거나 다른 모양을 나타내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추정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