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설명서에 치과의사는 왜 따로있는 거예요?
제가 심심해서 타이레놀 서방정하고 게보린 약 설명서를 봤는데 이런 문구가 있더라구요,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치과의사',약사하고 상의를 하라고 적혀있는데 의사,약사는 당연히 상의해야 하니까 그렇다쳐도 치과의사는 왜 따로있는 거예요? 구분할거면 왜 치과의사만 적혀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의대와 다르게 치대가 따로 있어서 치과의사도 써있는게 아닐까 싶네요. 딱히 생각해본적은 없는데 의사는 의대안에서 과가 분류되기 때문에 그냥 의사로 적혀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타이레놀이나 게보린은 진통제 종류로 치과의사도 종종사용할 수 있는 약물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고혈압약물이나 당뇨약같은 치과의사가 사용하지 않는 약물에는 치과의사가 적혀있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용학 약사입니다.
법적으로 의사와 치과의사가 명확히 구분이 되어있습니다.
의사와 치과의사가 분명하게 직역이 구분되어있는만큼 약품 설명서에도 그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것입니다.
의사 뿐 아니라 치과의사 또한 처방을 낼 수 있는 직역이므로, 이에 맞춰 각각을 기재하게 된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
내과 의사, 정형외과 의사, 피부과 의사 등은 모두 의료법 상 동일한 면허인 의사로 분류되지만, 치과의사와 의사는 의료법 상 다른 면허이기 때문에 의사와 치과의사는 구분해서 약 설명서에 기재됩니다.
또한, 다른 병원에서 처방된 약이나 기존에 복용하던 약이 치과에서 처방하는 약과 겹칠 수 있으며, 치과에서 하는 치료나 수술 시 복용하면 안되는 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약물 사용을 위해서 치과의사와 상의하라는 문구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