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
😵‍💫😵‍💫😵‍💫23.05.29

원자재 가격이 하락을 해도 기업들이 물건 판매가를 낮추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그리드플레이션 이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어요.

서민 입장에서는 물가가 오르기만 하고 내리지 않아서 너무 힘들지요.

원자재 가격이 하락을 해도 기업들이 물건 판매가를 낮추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라는 것은 전년 동월대비의 물가상승을 말하는 것인데 한번 상승한 물건의 가격은 하락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만 잘 살펴본다면 실제 물건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5~10년내에서 몇 번 발생하지 않지만 임금의 상승은 꾸준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가의 실질적 상승률을 따졌을 때는 임금의 실질상승하고 비슷한 흐름을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계란을 8천원으로 올린뒤로 내리지않는것은 구매자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시장 가격은 안팔리면 떨어트리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안팔리더라도 버틸수 있는 자금력이 있으면 애기는 달라지지요

    전보다 구매자가 적더라도 마진이 더 남기때문에 놔두는 거고요

    물가보다도 임대료, 유통비용등은 떨어지지않습니다

    전기세 같은거도 올리고 있으니 버티는 분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특정 원재료 시세가 떨어졌다고 해도 전기료, 인건비 등 가격을 결정하는 다른 항목들이 우상향 추세라 가격을 인하하기는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