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6.22

한국어에 한자어가 많이 섞이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부터일까요

한국에는 사실상 수 많은 한자들이 섞여 있는데요.. 언제부터 처음으로 한자가 우리 한국말에 섞이고 혼용이 되기 시작한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자는 아주 오래전부터 한반도에서 사용해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자가 전래된 것은 고조선 후기 즈음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그 이후로 낙랑군이 40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존속해 있었다는 점으로 인해 한반도 전역에 점차적으로 확산되었으리라고 생각되며, 이후 삼국시대에 들어서 공문서에서의 한자 사용이 보편화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됩니다.

    1443년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기 전까지는 한자로 표기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고 합니다.

    이 시기부터 한자와 한글이 혼용되어 사용된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기전 2세기경 한자, 한문이 유입되었다고 하며 3세기 후반 이미 학문을 일본에 수출할수있는 수준에 이르렀고, 6세기에 이미 한자, 한문이 토착화되었다고 간주됩니다.

    실제 한자어의 생성은 그 이전부터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공식적으로 인정될수 있는 것은 지증왕 때로, 지증왕 4년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처음으로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 지증왕 5년 중국식 상복법 제정, 지증왕 6년 주, 군, 현의 이름을 정했습니다.

    법흥왕 1년에 지증의 시호를 증하였고 법흥왕 7년 율령 반포, 법흥왕 14년 이차돈의 죽음을 계기로 불교가 공식적으로 허용되었으며 법흥왕 23년 건원이라는 연호 사용, 기타 국가의 제도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한자의 사용범위는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한글이 생기기 전 우리 문자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한자를 들여와 사용했고, 한자어가 많아 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어에 한자가 섞이지 시작 한 것이 아니라 한자에 우리 말이 섞이기 시작 한 것 입니다. 우리 말의 단어들은 거의 대부분이 한자어에서 온 단어들 입니다. 그것이 우리말화 된 것 입니다. 그러면서 하나 둘씩 우리 실정에 맞게 변형 되어서 우리말화 되가기 시작 한 것 입니다. 훈민정음 이전의 고려 시대나 삼국시대 언어가 그래서 어렵고 한자어 단어들이 많아서 지금의 우리말과 차이가 많은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