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국 통상정책이 정권과 무관하게 강화된다고 하는데 사실일까요
트럼프만의 특수한 정책이라 여겼는데 구조적 흐름이라는 지적도 많습니다 정권이 바뀌어도 자국 중심 정책이 지속된다면 우리 기업들은 어떤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통상정책을 두고 정권 성향에 따라 크게 달라질 거라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 보면 자국 우선주의는 이미 구조적인 흐름에 가깝습니다. 트럼프 시절이 극단적으로 보였을 뿐이고 바이든 정부도 핵심 산업 보호나 공급망 안정화를 명분으로 유사한 조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관세 인상이나 무역 장벽은 정권 교체로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방식만 조금 달라질 뿐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기업 입장에서는 특정 정권만 겨냥한 일시적 조치라 보기보다는 장기적 리스크 관리 전략을 짜야 합니다. 미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다변화된 수출 구조를 만들거나 현지 생산과 투자 확대를 통해 규제와 관세 리스크를 흡수하는 게 현실적인 대응이라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기업들은 결국 친미주의를 고집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고 가능하다면 관세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미국에 수출 및 생산 판매를 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주요기업들은 미국에 공장을 짓고 있으며, 최근에는 추가적으로 출장자와 관련된 비자 문제들이 나온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