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프스 고원지대 눈이 하얗게 쌓인 것이 아닌 붉게 물든 이유가 무엇입니까?
프랑스 지역에 있는 알프스 고원지대 눈이 하얗게 쌓인 것이 아닌 붉게 물든 이유가 무엇입니까?
하얗게 쌓인 눈이 아닌 이런 현상을 '빙하의 피'라고 해석했던데..
이것도 오존으로 인한 기후 변화때문에 생기는 것인가요?
어떤 현상인지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알프스 고원지대에서 눈이 붉게 물든 현상은 "눈 녹는 벌거숭이 현상"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이 지역에 서식하는 알파인 토끼와 같은 동물들이 눈을 먹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알파인 토끼와 같은 동물들은 겨울철에 먹이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눈을 먹어서 생존합니다. 그런데 눈은 소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소화되지 않은 눈의 색소인 산화 철이 동물의 배설물과 함께 붉게 변하게 됩니다. 이 붉은 배설물이 눈 위에 쌓이면서, 눈도 붉게 물들게 되는 것입니다.
알프스 고원이 빨간 눈덩이로 뒤덮인 현상은 "눈 녹는 미세조류(Chlamydomonas nivalis)"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미세조류는 눈의 표면에 생존하며, 빛에 반응하여 적색색소를 생성합니다. 이 적색색소가 눈에 묻어 빨간색 눈덩이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눈이 녹는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눈이 녹는 기간이 더 길어지면서 이러한 빨간 눈덩이들이 눈 위에 쌓여 붉은 산맥처럼 보이는 광경도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알프스 고원지대 눈이 붉게 물든 이유는 "알레비오 알갱이" 혹은 "빨간 눈썹 미생물"이라 불리는 미세 생물의 존재 때문입니다. 이 미생물은 빨간색 면역형색소를 가지고 있으며, 눈과 같은 얼음 위에 살아있습니다.
이 미생물은 특히 봄과 여름철에 더욱 활발하게 번식하며, 햇빛 아래에서 살아가며 면역형색소를 이용해 자외선을 차단하고 눈의 표면을 녹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녹은 눈이 붉은 색을 띄게 됩니다.
알레비오 알갱이는 일반적으로 눈의 표면을 빨간색으로 물들이지만, 때로는 노란색, 초록색 또는 주황색으로도 물들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 눈이나 얼음 위에서 발견되며, 아름다운 경치를 만들어 냅니다. 하지만, 이러한 미생물이 지나치게 번식하면 눈을 더럽히고, 자외선 차단을 너무 많이 해서 빛이 눈에 들어오지 않아 눈이 녹는 속도가 빨라져서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알프스 고원지대 눈이 붉게 물든 현상은 "빙하의 피" 혹은 "빙하현상"이라고도 불리는 현상으로, 눈이나 빙산이 붉게 물들어 보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주로 미세한 먼지나 모래, 산사태 등에서 발생한 물질이 눈 위에 쌓여 녹을 때 나타나며, 물질의 색깔에 따라 빨간색, 갈색, 검은색 등 다양한 색깔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기후 변화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산사태, 눈사태 등이 더 자주 발생하게 되면서, 빙하현상도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기 오염물질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물질들이 눈 위에 쌓이는 비율도 높아져 빙하현상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빙하현상이 오존으로 인한 기후 변화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알프스 고원에서 눈이 붉게 물든 현상은 "적설 조류"로 불리는 현상입니다. 이는 눈 위에서 생활하는 작은 생물인 적설조류(Arctic algae)가 생존하기 위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봄에 발생합니다.
적설조류는 녹조류의 일종으로, 눈 위에서 녹아나는 물에 의해 활동하며, 이때 빨강, 주황, 노랑, 그리고 초록색의 색소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색소는 눈의 표면을 물들이며, 눈이 붉게 물들어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고지대나 극지방에서 발생하며, 기후 변화로 인해 더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알프스 고원지대에서 빨갛게 물든 눈은 "빙설균(Blood Snow)"이라고 불리우는 현상입니다. 이는 빙하나 설산에서 눈이나 얼음이 녹을 때, 지표에 살아있는 미생물들이 발생한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 녹조류와 같은 작은 식물성 생물체입니다. 이들 생물체는 빙하나 설산 지표에 살아있는 데다가, 빛에 반응하여 붉은색 또는 주황색을 띄게 됩니다.
따라서 빙하의 피는 지구 온난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빙하의 녹음과 관련된 기후 변화와 함께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빙하의 피는 생태계의 변화와 함께 존재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지표의 오염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