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기발한염소153
기발한염소153

남극에 있는 섬뜩한 색깔의 빨간색 폭포.

빨간색 색깔의 눈?은 뭐죠? 무슨 원리로

그렇게 나오는거죠?

그거 사람이 닿으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녹아내리거나 그런건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의 섬뜩한 붉은 폭포는 빙하 속에 갇힌 100만 년 된 고염수 호수에서 나오는 철 성분이 산소와 만나 산화되면서 붉은 색을 띠게 됩니다. 사람이 만지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지만, 녹아내리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에 존재하는 붉은 눈은

      수박 눈이라고 불리는 자

      연 현상입니다.

      눈이 붉게 변하는 이유는 녹조류가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합성을 하는 미생물입니다.

      남극의 여름에는

      햇빛이 강해지고 기온이 높아지면서 녹조류가 빠르게 번식합니다.

      녹조류는 엽록소뿐만 아니라

      카로티노이드라는 붉은

      색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카로티노이드는 햇빛의

      자외선으로부터 녹조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녹조류는 눈 속에 갇혀 번식하기 때문에 눈이 붉게 변

      하게 됩니다.

      수박 눈은 빙하의 반사율을 감소시켜 빙하 녹는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녹조류가 번식하면서 남극의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녹아내리지 않습니다. 수박 눈은 눈이 녹아내리는 것이

      아니라 녹조류가 번식하여 붉게 변하는 현상입니다.

      만지면 붉은 색이 손에 묻을 수 있지만

      눈 자체가 녹아내리는 것은 아닙니다.

      주의가 필요합니다. 녹조류는 인체에 무해일부

      사람들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녹조류가 번식하면서 박테리아 등 다른 미생물도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인 면에서 주의해야 합니다.

      남극의 붉은 눈은 녹조류가 번식하여 발생하는 자연 현상입니다.

      붉은 눈 자체는 인체에 큰 해를 끼치지 않지만

      환경 변화와 생태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만약 남극에서 붉은 눈을 발견하면

      만지지 않고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새하얀 테일러 빙하 사이로 마치 피처럼 붉은 물줄기가 뿜어져 나와 피의 폭포라는 이름이 붙어졌다고하는데요 2006년 존스홉킨스대 연구진이 피의 폭포 물에 있는 철 성분이 공기 중 산소와 만나 산화하면서 빨간빛을 띠게 됐음을 밝혀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