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랑 메르코수르 무역협정이 진짜 우리 기업들한테 득일까요
유럽연합이 남미랑 무역협정을 서두르고 있다는데 농업 쪽 이해가 얽혀서 발효가 늦어질 수도 있다고 하네요 결국 우리 기업들 입장에서는 남미 시장 진출 전략을 다시 짜야 할 것 같은데요 이런 상황이 실제로 어떤 차이를 만들어낼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EU와 메르코수르 협정이 발효되면 유럽 기업들이 남미 시장에서 관세 혜택을 크게 누리게 되고, 우리 기업은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철강, 화학 제품은 직접적인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협정이 농업 이해관계 때문에 지연되면 우리 기업이 그 사이에 틈새를 공략할 시간은 생깁니다. 따라서 현지 파트너십 강화나 FTA 네트워크 활용 전략을 미리 세워두면 시장에서 입지를 유지할 여지가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EU와 메르코수르 협정은 구조적으로 보면 남미 쪽 농산물 수출에 큰 이익이 돌아가는 형태라서 우리나라 기업에는 직접적인 특혜가 주어지는 건 아닙니다. 다만 유럽 기업들이 관세 혜택을 받아 남미 시장에 먼저 자리 잡게 되면 우리 기업의 입지가 상대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나 기계류 같은 품목에서 유럽산이 더 싸게 들어가면 우리 제품은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 협정이 발효가 지연되면 우리 기업에게는 숨 고를 시간이 생기고 기존 네트워크를 활용할 여지가 더 커집니다. 그래서 협정이 빨리 움직일수록 우리 기업은 선제적으로 남미 내 파트너십을 강화하거나 틈새 품목을 공략하는 전략을 세워야 실질적인 타격을 줄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실질적으로 차량에 대한 경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현재 메르코수르 쪽에는 이미 한국 및 EU 메이커들의 자동차 공장이 있으나 관세면제로 본토의 차량도 수출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휴대폰이나 반도체는 무관세이기에 크게 무관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