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남미 시장에 진출하려는 수출기업이 사전에 고려해야 할 무역규제나 문화적 차이는 무엇인가요?

남미는 각국의 통관제도, 기술규정, 문화적 특성이 달라 진출 전세심한 분비가 필요합니다. 한국기업이 수출 전략을 수립할 때 어떤 정보와 절차를 중심으로 준비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남미는 국가별로 통관 절차나 인증 기준이 제각각이라 일괄된 전략보다는 수입국별 맞춤 준비가 중요합니다. 특히 현지 기술규정이나 라벨링 요건, 위생허가처럼 국내와 다른 기준이 많아 이를 미리 파악하고 반영하는 게 필요합니다. 또 통관 지연이나 예외적 서류요구가 잦은 편이라, 현지 파트너와 협력하거나 대행사를 통한 절차 점검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남미 각국에 대한 통관이나 수입규제, 관세 등 무역규제 등이 상이해 일단 수출품목이나 요건 등에 대해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일단 해당 국가의 KOTRA의 정보 등을 살펴볼 필요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자료들이 있습니다.

    https://openknowledge.kotra.or.kr/handle/2014.oak/32495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일단 수출과 관련하여 전략을 수립할때는 FTA 대상국인지 여부를 파악하는게 가장 중요할 듯 합니다. 남미 쪽 시장의 경우 관세율이 높은 경우가 있기에 이에 대한 파악 없이는 수출 자체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부가세 등의 세금의 체계도 다르고 물품마다 특정 세금이 추가되는 경우도 있기에 이에 대하여 확인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물품을 수입할때 특정 수입요건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요건의 경우 추후에 맞추려면 계약 위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기업이 선적전에 이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환율의 경우에도 해당 통화로 거래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에 가능하다면 USD로 거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등 주요 국가들은 독자적인 기술표준 및 라벨링 요건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정보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FTA 체결 여부와 원산지 기준을 확인해 관세 혜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출입 구조를 설계가 필요 할것입니다. 남미는 관계 중심의 비즈니스 문화가 강하므로, 현지 파트너와의 신뢰 형성, 언어 소통(스페인어 또는 포르투갈어), 비즈니스 관행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