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풋풋한황새20
풋풋한황새20

공무원의 직급 명칭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9급 서기보 8급 서기 7급 주사보 6급 주사

5급 사무관

4급 서기관

3급 부이사관

2급 이사관

1급 관리관

옛날에 어른들이 입버릇하던 면서기가 8급9급에서의 서기가 맞을까요?

4급에도 '서기' 라는 용어가 들어가는데 무슨 뜻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초록지빠귀92
    초록지빠귀92

    서기라는 직급은 1894년(고종 31)의 관제개혁 때 처음 설정되었으며, 이는 일제강점기와 미군정 때도 계속하여 존속되었으나, 오늘날의 의미와는 다르다. 정부수립 후 1948년 11월 「인사사무처리규정」에 의하여 서기라는 직급이 설정되었다.을류로 구분되고, 5급갑류의 사무계 공무원을 단순히 서기라고 하지 않고 서기라는 명칭 앞에 직무의 분야를 명시하여 행정서기·재경서기·사세서기·통계서기 등으로 세분하였다. 1981년「국가공무원법」 개정으로 5급갑류인 서기는 8급공무원으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