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23.11.04

동물이 아닌 식물도 암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나요?

식물에도 암이 발생한다는 얘기를 얼핏 들었는데요.

그렇다면 동물에게서 발견되는 식물도 암도 발생할 수 있는지 그리고 동물에게서 발생되는 암과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목의 뿌리혹병은 Agrobacterium tumefaciens라고 하는 일종의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병원세균은 식물에 암을 유발하는 유전인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정상세포 내로 들어가 형질 전환을 일으켜 암세포를 만들며, 이들 암세포가 증식해서 혹이 만들어진다.(출처 : 한국조경수협회 - 재배관리)

    일반적으로 암에 걸렸다고 하면 정상 세포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는 위험요인에 노출되었을 때 암세포로 변하게 되고 따라서 암이 발생한다고 봅니다. 결국 식물도 정상세포가 변이 되어서 암이 되는 것이라서 비슷한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예를들어 crown gall (크라운 골)이라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식물 암으로서 적당한 숙주 식물의 상처에 Agrobacterium tumefaciens라고 하는 균을 접종하면 발생이 됩니다. 이때 플라스미드라고 불리는 유전자 조각이 세균에서 숙주 세포의 유전자로 통합되어 변형이 일어나게 됩니다.

    충분한 세포들이 암세포로 변형되고 나면 세균을 제거하더라도 암세포는 계속 자라나게 되어 암 덩이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이 암에 걸리는 경우는 없습니다.

    식물은 동물과 달리 세포 분열과 성장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동물의 경우, 세포가 무제어적으로 분열하고 성장하면 이를 암이라고 하지만 식물의 세포는 세포벽이 있어 이동하지 못하며, 세포 분열도 특정 성장 지점에서만 일어납니다.

    따라서 식물에는 동물에서 볼 수 있는 암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도 암에 걸릴까? 대답은 ‘그렇다’입니다. 식물병리학자들은 다양한 식물에서 암을 발견해 왔습니다. 우리가 매일 먹는 채소도 예외는 아닙니다. 다행스럽게도 채소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암은 원인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예방과 방제가 어느 정도 가능합니다.

    배추, 무와 같은 배추과 채소에서 나타나는 무사마귀병은 식물의 주요 암 중 하나입니다. 암세포는 인간의 그것처럼 무제한의 증식을 하는 미분화 세포의 덩어리로 유지됩니다.

    안타깝게도 병이 걸린 식물체를 치료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병의 원인이 땅속에 있으니 인간의 그것처럼 도려내기가 곤란하며 방사선치료는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가능한 방법이 아닙니다. 치료용 농약은 아직 개발돼 있지 않으므로 보호 목적으로 방제하는 것이 최선이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