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친절한코끼리20
친절한코끼리2023.06.01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신분제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고대때부터 신분제가 지속되었는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신분제의

가장 큰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는 법제상으로는 양천제(양인과 천민만이 존재)였으나

    실질적으로는 귀족- 중류층(하급귀족)-평민-천민의 넷으로 나누어졌고

    그 중 귀족과 중류층은 구별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조선시대는 법제상으로 양천제였으나

    실질적으로 양반- 중인- 상인- 천민의 반상제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신분제는 여러 면에서 크게 다릅니다.

    고려 시대는 초기에는 삼국시대의 '계급' 제도를 계승하였으나, 훈감과 귀족 간의 혼혈로 인해 그 경계가 모호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비와 양인의 구분이 뚜렷했으며, 노비의 지위가 저하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조선 시대는 성리학적 사상에 기반하여 '양반', '천민', '중인', '노비'라는 네 가지 계급으로 이루어진 유교 사회의 신분제로 진화했습니다. 이 네 가지 계급은 각각 지위와 권리에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가장 큰 차이점은 고려시대는 귀족 중심의 신분제가 주를 이루었으나, 조선시대는 성리학적 사상에 기반한 양반 중심의 체계적이고 엄격한 신분제가 구축되었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