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300만원의 급여를 받는다면 한달에 어느정도 쓰는게 맞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0대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미혼
희망 상담 분야
부동산 설계

300만원의 급여를 받는다면 한달에 어느정도 쓰는게 맞나요?

어느정도를 생활비로 쓰는게 알맞은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30대 평균적으로는 어느정도 생활비로 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생활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질문해주신 분의 상황에 따라 엄청나게 차이가 납니다.

    다만, 결혼하지 않으시고 부모님과 함께 사신다면 100만원 미만으로 소비하시고

    남은 돈으로 저축 및 투자를 하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300만원을 받는다고 해도 사람마다 상황이 다르니 기준이 딱 잘리진 않습니다. 대략 고정지출이 월세나 관리비 대출 상환 등으로 100만원 안팎 들어가고 식비나 교통비가 60만에서 80만원 정도 됩니다. 나머지는 저축이나 보험 취미 비용으로 나누는 경우가 많습니다. 30대 평균 생활비를 보면 혼자 사는 경우 150만에서 180만원 사이에 맞추는 경우가 많고 가족이 있으면 그 이상 듭니다. 결국 소득에서 최소 20퍼센트 이상은 저축하려는 구조를 잡는 게 안전하다고들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직장인 월급 받아서 지출을 얼마나 하느냐의 차이는 일단 고정지출비용이 얼마인지 명확하게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월급 받아서 고정지출비용을 뺀 나머지 돈이 가용현금이죠 이 가용현금 중에서 얼마를 쓰고 얼마를 저축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보통은 50프로 이상은 저축을 하고 주변에 많이 하는 분들이 70-80프로 합니다

    저축하고 남은 돈으로 부족해도 한달을 버티면서 사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그래야 돈이 모이기 시작하거든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3백만원 수입 기준 평균적으로 월 60%를 생활비로 사용합니다. 나머지는 저축, 투자, 비상금으로 배분하며 1인 가구는 소비 비율이 낮고 4인 가구는 생활비 비중이 더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완전히 자취를 한다면 최소한의 사용 고정비용이 있기 때문에 150정도 사용하면

      보통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그 이상을 소비한다면 과소비 구간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혼이시고 혼자 버시는거라면, 얼마를 쓰는가보다는 얼마를 모아야 하는 가를 기준으로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소득의 50~70%는 모으시는 것이 미래 대비를 위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30대 미혼이 월 300만원 급여를 받는다면 생활비로 약 100만원 내외가 적당합니다. 나머지는 저축과 미래 투자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거비, 교통비, 식비 등 필수 지출을 관리하고 사치성 지출은 절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경제적 안정과 장기적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대다수 30대 미혼자는 소득의 약 30~40%를 생활비로 쓰고 나머지는 저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생활 환경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지출 계획을 세워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300만원의 급여를 받는다면 생활비로 100-150원 가량 들어가는것이 일반적입니다. (교통비, 통신비 등 포함) 여기에 월세 등이 들어가면 조금 더 돈이 들어갈수밖에 없습니다. 다른 부분을 많이 아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300만원의 급여를 받게 된다면 이는 내가 어떠한 환경에 사는지에 따라 다를것 같습니다. 부모님과 함꼐 거주하는지 또는 독립하여 월세나 이러한 부분에 대한 생활을 하는지에 따라서요. 만약 부모님과 함꼐사는 편이라고 한다면 자동차 운행비 기름값 한달에 20만원 정도, 그리고 통신비 5만원 정도, 그리고 보험료 5만원, 식비 30만원 정도 잡으시고 쇼핑이나 데이트 등을 한다고 한다면 그래도 200만원은 모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만약 이것이 많다고 한다면 180정도는 모을 수 이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300만원의 세후수령액이라고 한다면 순전히 공과금을 포함한 생활비는 50%을 초과해서는 안된다고 보이며 평소 생활비도 30%정도이내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즉 최소 70%이상은 즉 200만원정도는 저축이나 투자 또는 보험료등의 납입으로 하여야지 빠르게 시드머니를 모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