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덕천동은 일본의 도쿠가와와 한자가 똑같은데 어떤 역사적 연관성이 있을까요?
제가 부산에 살 때 덕천동이라는 곳을 자주 같은데, 여기가 한자로 德川을 쓰더라구요. 이게 일본의 그 유명한 천하인 3걸 중 하나이자 근세 막부 정치의 개창자인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한자와 같던데 혹시 어떤 연관이 있나요? 설마 일제시대 때 도쿠가와 성씨를 바탕으로 일본 총독부가 신설한 명칭은 아닐테고, 고대 유교 경전이나 이런 데서 유래한, 뭐가 뜻이 담긴 명명인데 우연히 같아진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산 덕천동 지명의 유래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덕천이라는 지명은 원래 만덕에서 흘러내리는 하천이라는 뜻에서 생긴 이름이라고 합니다.
상학산 골짜기마다 흘러내린 물들을 받아 안고 서쪽 강변쪽으로 뻗어내린 산 줄기를 끼고 흘러 낙동강으로 들어 가는 하천이 바로 덕천인 것입니다. 덕천동에는 남쪽 산을 끼고 숙등, 남산정 마을이 있고 북쪽으로 의성, 기찰 마을이 있습니다. 의성 마을은 조선시대 임진왜란때 왜군이 쳐 들어와 살았던 성터가 남아 있는데 이곳에는 신라시대부터 성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기찰마을은 조선시대 강물이 들어 왔던 곳으로 이곳 구법진 나루에는 강변을 순시하던 찰방이 근무하였던 기찰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지금도 마을 이름으로 남아 있습니다.출처: 북구소개<지명유래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덕천이라는 지명은 원래 만덕에서 흘러내리는 하천이라는 뜻에서 생긴 이름입니다. 상학산 골짜기마다 흘러내린 물들을 받아 안고 서쪽 강변쪽으로 뻗어내린 산 줄기를 끼고 흘러 낙동강으로 들어 가는 하천이 바로 덕천인 것이라고 합니다. 일본의 덕천 가강은 1560년에는 이름을 의원(義元)에서 가강(家康)으로 개명하였으며, 1567년에는 송평씨에서 덕천씨(德川氏)로 성을 바꾸어서 덕천가강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덕천 이라는 지명은 한국에서는 지명으로 일본에서는 사람의 이름 씨로 존재 했다고 보여 지며 크게 연관성은 없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 도쿠가와 이에랴스는 부산(동래)사람입니다.
자신의 고향 동래(부산)의 덕천리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현 부산시 북구 덕천동이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태어난 곳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