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자산관리사, 국제공인자산관리사? 같은 자격증은 우리나라에서 전문가의 척도인가요

자산관리사, 국제공인자산관리사? 같은 자격증은 우리나라에서 전문가의 척도인가요

아니면 운전면허 수준, 또는 보험설계사 시험정도 로 평가절하하나요

자격증이 있으면 대단하다 경제전문가다 할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관리사(CFP)나 국제공인자산관리사 자격증은 전문성을 인정받는 중요한 자격증입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많은 교육, 시험, 경력 요건을 충족해야 하고 지속적인 교육도 필요합니다. 특히 CFP는 국제적으로도 공인된 자격증으로 재무설계 분야에서는 전문가로 인정받을 수 있는 척도가 됩니다. 그러나 보험설계사 자격증처럼 더 쉽게 딸 수 있는 자격증들과는 달리 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은 상당한 노력으로 전문성을 쌓은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자격증과 함께 실무 경험이 풍부해야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이론과 실전은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론은 대부분 투자자들은 합리적인 투자자로가정하거나, 과거의 추세, 패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과거와 같은 패턴으로 진행되지않을 수 있으며 예상과 다르게 움직이는 투자자들이 있어 정확한 예측이 불가합니다.

    이는 많은 경험에서 터득 해야 합니다.

  • 자산관리사, 국제공인자산관리사(CFP) 같은 자격증은 우리나라에서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입증하는 중요한 척도 중 하나입니다.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으며 고객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금융권 취업 시 우대사항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자격증 취득만으로 전문가라고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자격증 취득 후에도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실무 경험을 쌓아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자격증도 난인도가있습니다.그래서 비교적 난이도 높은 국제공인자격증은 인정받기도하나

    널리알려지는부분이 부족하기에 그 인정은 일부국한되거나 타 능력과결합될때 빛을 냅니다.

  • 안녕하세요.

    자산관리사, 국제공인자산관리사 자격증은 전문가 척도로 볼수 있습니다.

    각 시험은 중상 수준의 난이도로 평가되고 있으며 금융 자격증 중에서도 다소 도전적인 편에 속합니다.

    그리고 합격률도 30%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문제 난이도도 운전면허나 보험설계사 시험과 비교할 수 없을만큼 어렵지만 공부의 양이나 이해도가 훨씬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자산관리사나 국제공인자산관리사와 같은 자격증들이 우리나라에서 전문가의 척도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런 자격증이 있다면 다른 분야는 모르겠지만 경제 분야에서는

    전문가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전문가라는 것이 한 분야에서 상당히 전문적인 지식과 노하우를 가진 사람인데, 자산관리사와 국제공인부동산자산관리사 역시도 해당분야에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비교적 합격하기 쉬운 운전면허증이나 보험관리사 보다는 어려운 수준의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