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엄격한치타84
엄격한치타84

귀염증은 없는데 귀가아파요 이유

귀염증이 없는데 귀가아파요

병원을가도 이유을 할수없는데 하루종일 귀가 아파요

귀아픈 이유 무슨병이 있나요

6개월정도 계속 아프고 병원을 3군데나 가봤는데 이유을 모루겠어요

이럴경우 어떤경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귀 통증의 원인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귀통증의 원인

      1. 귀가 먹먹하고 아파요

      “이물질, 소음, 귀의 충격, 압력”

      귀가 먹먹한 느낌이 들면서 통증이 있다면 귀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소음,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이통을 의심할 수 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귀나 코에 이물질을 넣어 통증을 호소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며, 이어폰 등으로 높은 음량의 소리를 장시간 듣거나, 직업적으로 소음에 자주 노출되는 경우, 따귀 등 귀에 직접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고막 손상, 깊은 물속으로 잠수하거나, 비행기 이륙 등 기압이나 수압으로 인한 귀의 압력 변화, 그 밖에도 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스타키오관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귀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귀가 먹먹하면서 통증이 느껴질 때는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에 방문하여 진료받을 수 있다.

      2. 열이 나고 귀가 아파요

      “외이염, 중이염, 종기”

      발열 증상과 함께 귀에 통증이 있다면 귀 염증, 종기로 인한 이통을 의심할 수 있다.

      귀의 염증으로 인한 이통은 염증 부위에 따라 외이염, 중이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어린아이가 감기, 폐렴과 같은 호흡기계 질환을 앓고 난 뒤 중이염으로 염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이는 고막 안쪽에서부터 달팽이관까지의 공간으로 이곳의 압력 조절 역할을 하는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코에서 세균이 넘어와 중이염에 걸리게 된다.

      중이염은 귀의 통증과 함께 삼출액이 차거나 흘러나오기도 하며, 난청, 어지러움, 발열 등이 동반될 수 있다.

      그 밖에도 귀의 통증은 수영, 샤워 시 귀에 물이 들어가거나, 면봉이나 귀이개를 잘못 사용했을 때, 건선이나 지루성 피부염 같은 피부질환 등으로 인해 외이염에 걸려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드물지만, 귀 내부에 종기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귀의 염증으로 인한 통증은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를 방문하여 진료받을 수 있다.

      3. 치아나 턱, 경추와 함께 귀가 아픈데 귀에는 이상이 없대요

      “치아, 턱, 경추의 연관통”

      귀의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지만, 검사 결과 귀가 정상인 경우 치아, 턱, 경추의 연관통을 의심할 수 있다. 치아나 턱, 목의 경추 등 다른 부위의 이상으로 인해 귀의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이상 부위에 따른 비율은 치아 문제 38%, 턱관절 기능장애 35%, 경추질환 8%, 신경통 5%, 호흡기계나 소화기계의 문제 4%, 암 3%, 기타 7%로 조사되었다.

      한편,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을 때 귀의 통증이 나타난다면 사랑니나 치아 문제를 의심할 수 있고, 음식을 씹을 때, 입을 벌릴 때 딱딱 소리와 함께 이통이 나타난다면 목, 경추의 통증으로 인한 연관통을 의심할 수 있다.

      귀가 아닌 다른 부위의 이상으로 인한 귀통증은 치과, 정형외과, 신경과, 내과 진료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알아보는 것이 좋다.

      4. 그 밖의 원인

      이통의 그 밖의 원인으로는 신경통, 위식도역류, 침샘 질환, 갑상선염, 협심증, 이글증후군, 경동맥류, 측두동맥염, 종양 등을 들 수 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이통을 유발하는 경우는 보통 외이도나 고막의 염증을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비인후과적인 진찰상 이상이 없다면 신경과에서 편두통이나 삼차신경통의 비특이적인 증상의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신경과에 가셔서 필요시에 MRI를 촬영해보시기 바랍니다.

      신경의 자극으로 그럴 수도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