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친구와 통화하면서 욕을 쓰는데 어떻게 하죠?

아이가 지금 10살인데 저와 아내랑 대화할때는 괜찮던데 우연히 친구랑 통화하는걸 들었는데 욕을 엄청 쓰더라구요. 이걸 모르는척하고 넘어갈지 아니면 욕을 쓰지 말라고 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어지현 육아전문가
      어지현 육아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쩌면 욕은 요즘 아이들이 안할 수가 없을 정도로 또래 관계에 있어, 특히 남자 아이들 사이에서 문화로 자리잡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무분별한 욕의 사용을 허용해야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친구들 사이에서는 욕을 사용하더라도 최대한 자제할 수 있게 얘기해주시고 집에서는 안했으면 좋겠다고 진솔하게 얘기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친구들과 대화하려면 욕을 안할 수 없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친구들과 있을 때는 해라, 하지만 길에서나 공공장소, 집에서는 친구들과 있더라도 가려서 했으면 좋겠다고 말해주세요.

      아이들 입장을 이해해주시면서 기준을 제시해주신다면 분명히 아이도 부모님의 말씀을 따라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이야기 하고 바른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건 어떨까요?

      아이가 부모님 없을 때 비속어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가령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작은 숲 제비 님. 반갑습니다!

      초 3학년 자녀가 부모와 함께 있을 때 하지 않지만, 친구와 통화하면서 들렸던 욕설을 듣고 놀라고 당황했겠습니다. 자녀를 어떻게 코칭 해야 할지 고민 글 주셨군요.

      먼저 통화 내용을 들었을 때 아빠가 어떤 감정과 생각이 들었나요. 그 마음을 자녀에게 솔직하게 전합니다.

      예를 들어,

      “아빠는 00이가 친구와 통화하는 것을 우연히 듣게 되었어~대화 속에 욕을 많이 써는 것 같아 무슨 일이 있는지 궁금하구나. 속상한 일이 있었는지 너희들이 나누는 대화 속에 나오는 욕인지 말해줄 수 있을까?”, “좋은 언어를 사용하는 친구와 부정적 언어를 사용하는 친구가 있다면 00이는 어떤 친구에게 다가가고 싶을까?”

      자녀의 행동에 지적하거나 바로 훈계하기보다 욕을 하게 된 경위나 동기가 있었을 것입니다. 부모 앞에서 하지 않은 모습을 칭찬해주고 엄마·아빠에게 하듯이 친구와 좋은 말을 나누는 멋진 모습이 아빠는 기대된다고 차분하게 지지하면서 마음부터 공감하며 들어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요즈음 아이들이 학교에서 대화 속에 욕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그들만의 대화 방식이라고 여기는 아동이 많습니다. 잘못된 대화가 고학년이 되면 순환하기 어렵습니다.

      욕설을 많이 한다면 자녀의 내면에 공격성이나 문제해결에 즉흥적으로 대응하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을 무의식이라고 합니다. 부모가 몰랐던 모습을 보게 되니 얼마나 다행일까요.

      평소에 내 자녀가 억울했던 경험이 있는지 알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억울했던 감정을 들어주시고 풀어가려는 부모의 관심이 존중감을 받으면서 또래 간에 존중 속에 긍정적 대화로 이어집니다.

      작은 숲 제비 님! 질문을 통해 자녀를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부모님이 되고 싶은 님! 응원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나를 더 이해하고 수용하며 질문 전보다 ‘나’를 알아가는 귀한 시간 되길 바랄게요.

      즐겁고 건강한 ‘님’이 자녀와 소통하시는 부모 모습을 상상해봅니다.

      감사합니다! 늘 우리의 삶이 기쁘고 행복하기를 축복합니다.

      아하(Aha) 아동심리상담사 가 령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또래들 문화에서는 욕을 쓰는 것이 자신들의 우월감을 표출하는 것일 것 같아요.

      10살이면 충분히 의사소통이 가능하므로, 혼을 내거나 다그치기 보다는 올바른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하시면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친구에게서 배운 욕을 한다라는 것은 아이의 사회적 관계가 넓어지고 있다 라는 의미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아이가 욕을 하면 그것을 성장과정에서 받아들이되 그 언어는 옳지 않음을 알려주시고 올바르게 자기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방법을 가르쳐 주시는 것이 좋아요.

      욕을 하면 왜 안되는지, 상대방이 들었을 때 그 욕은 나쁘게 들릴 수 있음을 설명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