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에서 손절라인은 어떻게 정하나요?
손절을 못하면 주식을 하지 말라는 이야기가 있는데요. 주식을 매수하고 손절을 할 때 고려할 사항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라인은 투자자의 위험 감수 성향과 투자 목표에 맞춰 설정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매입가에서 일정 비율(예: 5~10%) 이하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손절라인을 설정할 때는 기업의 기본적 분석과 차트 분석을 고려해 시장의 변동성도 함께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절은 본인만의 투자 관점에 따라서 다릅니다.
일정 %만 떨어지면 기계적으로 손절하거나 이전 봉의 시가를 기준으로 삼거나 5일선, 20일선 같은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삼거나 각자만의 기준들이 있습니다.
어떤 기준이든 어쨋든 원칙을 세웠으면 지키면 되는데 사실 손절을 잘 못하는 사람들은 기준을 못세우는게 아니라 세워둔 기준을 못지키는 경우가 거의 전부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투자시장에서 손절은 지지선을 깨지고 내려가는 경우, 추가 하락이 충분히 예상되는 경우에 손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 라인은 투자자의 개인적인 투자 성향이나 판단에 따라 다를수 있으며 시장 상황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목표를 정해두고 투자 원금 대비 손실률이 일정 비율 이상일 경우 손절하는게 좋습니다.
보통 투자원금에 10%내외로 결정하시는것이 권장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마다 손절선은 다르지만, 보통은 예상 수익의 1/2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예를 들어서 해당 종목으로 수익률을 30% 목표하고 있다 라고 한다면,
손절라인은 매수가의 15%로 설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손절할때 고려하시면 좋은 점은 요즘과 같이 시장의 변동성이 클 경우에는 손절라인을 원래보다 조금더 아래에
설정하심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할 땐 매수 이유가 사라졌는지, 기업 실적이 악화됐는지, 시장 상황이 변했는지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단순한 가격 하락이 아니라 투자 판단이 틀렸을 때 손절하는 게 중요하며 감정적 손절보다 미리 계획한 손절 기준을 지키는 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이란 손해를 보고 있지만 더이상의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서 주식을 매도 하는것을 의미 합니다.
사람마다 손절하는 금액은 다를수 있습니다 보통 15~20%사이에서 손절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손절라인은 앞으로의 경제사정과 회사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