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언제쯤이나 떨어 지는건가요 뉴스에서는 담보대출 또 올린다고 하던데?
지금 제가 9000만원 대출이 있는데... 25년이 되면... 고정그림리가 풀리고 다시 설정을 해야 하는데.. . 상환할돈은 없고 .. 이문제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지금은 신협에서 대출을 받은 상태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기준금리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 미국이 9월에 인하하면 우리나라도 따라서 내릴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한국은행에서는 미국이 금리를 내려도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미국이 연내에 2~3차 금리 인하를 진행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최소 1~2차의 인하는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대환대출 등을 통하여
이에 따라서 금리를 조금이라도 낮추시고
해당 대출의 기간을 늘리는 등 하시는 것이 좋을 것이니
한번 대환대출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10~11월에 금통위를 거치며 떨어질 전망입니다
다만 주담대와 전세대출과 같은 가계대출은 정부가 조이라는 은행권 압박이
있었기 때문에 금리를 올려서 조정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 인하와는 별개로 부동산 대출 금리만 올려서 가계대출 금리에는
더욱 압박이 있을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언제 떨어질지는 확실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최근 뉴스에서는 담보대출 금리가 또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되고 있죠. 지금 9,000만 원 대출을 받으셨고, 2025년에는 고정금리가 풀리고 다시 설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몇 가지 고려할 점이 있습니다.
우선, 금리 동향을 계속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금리가 계속 오를 가능성이 높다면, 대출 금리가 올라서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재정 계획을 잘 세워서 상환 준비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만약 상환할 돈이 부족하다면, 추가로 수입을 늘리거나 지출을 줄이는 방법을 고려해 보세요.
또한, 대출을 재조정하거나 갈아타는 것도 방법입니다. 현재 신협에서 대출을 받고 계시지만, 다른 금융기관에서 더 유리한 조건의 대출을 찾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금리 상승이 걱정된다면, 변동금리 대신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고정금리는 대출 기간 동안 금리가 변하지 않아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금리나 대출 조건에 대한 정보는 자주 확인하시고, 필요하면 금융 전문가와 상담해 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겁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금리는 2024년 말이나 2025년 초에나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 전까지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은 아직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어 당분간은 추가 금리 인상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만약 2025년에 고정금리가 풀린다면 그때의 금리 수준에 따라 상환 계획을 재조정해야 할 것입니다. 대출 상환이 부담된다면 신협에 조기 상환 옵션이나 대출 조건 변경을 문의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