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우리나라에서 계절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에서 계절이 여름과 겨울이 길어졌고 봄과 가을이 짧아졌다고 말할 때 이 때 여름과 겨울을 정하는 기상청의 공식적인 기준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계절은 과거엔 절기 라고 하여 24절기로 구분을 하였습니다. 크게 계절은 봄여름가을겨울 4계절이지만 그 사이사이를 더 세부적으로 온도나 기후를 구분하여 24등분 하여 환경을 구분하였습니다.

    이러한 절기는 한국 뿐 아니라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존재하고 있는데 절기와 절기의 간격은 대략 15일 정도 입니다.

    현재 과학기술이 발달한 요즘에는 기상청에서 계절을 구분할 때 이러한 절기 뿐 아니라 기온, 기압, 강수량, 기단 등 여러가지 요인을 슈퍼컴퓨터를 사용하여 계절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에 따라 기상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기후예측의 난이도는 계속 올라가고 있으며 현재 여름이 길이가 계속 길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상이변에 맞춰 매년 계절별로 그 길이가 조정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기상청의 공식적인 계절 구분은

    여름일때는 일평균 기온이 20도이상 올라간후 내려가지 않는 첫날부터 이며

    겨울일때는 일평균 기온이 5도 미만으로 내려간후 올라가지 않는 첫날부터 입니다.

    위와 같은 해당 조건으로 지난 100년간 우리나라는 여름이 길어지고 있으며 겨울이 짧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