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질문입니다
인플레이션정책으로 통화량을 증가 시키고
디플레이션은 통화량감소 대출규저 돈을 줄이는 정책 이잖아요. 그럼 이미 시중에 풀린돈은 많은데
디플레이션이 오는건 대출의 이자와 원금을 회수하고 대출규제로 그돈을 시중에 안풀어서 회수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통화량 증가로 발생합니다. 시장에 통화량이 증가하여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올라가는 현상이죠.
디플리에션은 반대로 보면 되고요.
시장의 통화량을 줄이는 방법(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방법)은 대출규제를 통해 돈을 안푸는 것은 맞습니다. 이 또한 대출규제라는 정부의 정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대출을 까다롭게 심사할 것으로 금융기관에 지시하는 것이죠.
시장의 인플레이션의 줄이는 확실한 방법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대출수요가 감소하고 투자및 소비의 감소로 이어져 시장의 통화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통화량의 감소, 대출 규제, 소비 감소 등으로 인해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게 됩니다.
대출의 이자와 원금을 회수하고 대출 규제를 통해 시중 자금을 줄이는 것은 통화량을 조절하고 경기를 안정시키는 정책의 한 방법일 수 있지만, 디플레이션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산량의 감소, 수요 부진, 경기 침체 등이 디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중에 이미 풀린 돈이 많다 하더라도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여 경제 활동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과 같은 경우 돈을 줄이는 정책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물가가 계속 떨어지기에 어떻게든 경제를 부양하고자 양적 완화 등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대로 알고 계신 것 같습니다.
인플레이션시 긴축정책은 통화량을 줄여 화폐가치를 상승시켜 물가를 잡는 것이고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장기간 하락하는 현상이고 이는 금리를 낮추고 통화량을 늘려 물가와 화폐가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책을 써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풀린 돈이 많다고 해서 사람들이 다 소비를 하지는 않습니다, 물가상승이 오르는 것은 정비례하지만, 돈이 풀리면 물가가오른다는 보도를 이용하여 더 많은 이익을 위해 찔끔찔끔 올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금리를 올리면 예금과 대출이자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고정금리를 제외하면, 그러면 소비가 줄고, 돈이 돌지않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 물가하락 소비 생산위축으로 경기가 침체가 되는 것을 말하는데요, 통화량이 감소하고 수요가 하락하는 것인데, 이럴 때엔 수요를 촉진하기 위해 재정 정책을 사용하여 지출을 늘리거나 세금을 줄이면 됩니다. 또한 금리 인하나 양적 완화 등의 통화 정책을 사용하여 가격 수준을 상승시키면 됩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는 주로 소비와 투자 감소, 신용 긴축, 부채 상환, 그리고 자산 가격 하락 등입니다.
소비자와 기업이 돈을 쓰지 않거나 투자를 줄이면 경제 활동이 둔화되고, 이는 물가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은행이 대출을 줄이거나 대출 조건을 강화하면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줄어들며, 기업과 개인이 대출을 상환하면 그 돈은 은행으로 회수되어 유동성이 감소합니다.
또한, 부동산이나 주식 등의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사람들이 자산을 매각하고 현금을 보유하려 하여 소비가 줄어듭니다.
디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중앙은행과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합니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면 대출 금리가 낮아져 소비와 투자가 촉진됩니다.
양적 완화를 통해 중앙은행이 국채나 다른 금융 자산을 대규모로 매입하여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정부는 재정 정책을 통해 인프라 투자나 사회복지 지출을 늘려 경제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출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중소기업이나 개인이 대출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며, 통화 공급을 증가시켜 시중에 더 많은 돈을 공급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치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