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일정한 체온을 유지할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체온이 내려가기 시작하는 온도는 실외 몇 도부터 낮아지면 저체온증이 시작되는지 궁금합니다.
실외온도가 춥다고 하더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체온에 따라 체온이 낮아지는 것이 다르게 될텐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있을경우 실외온도가 몇 도 이하가 되면 저체온증
발생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저체온증은 체온이 35도 이하로 떨어지는 상태입니다. 이는 실외온도뿐 아니라 옷차림이나 신체 활동, 체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10도 이하에서 체온이 서서히 낮아지며 보호 장비 없이 장시간 노출되면 저체온증 위험이 증가합니다. 0도 이하에서는 추운 환경에서 옷이 젖거나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체온 하강이 더욱 빠르게 진행됩니다. 영하 10도 이하가 되면 저체온증 위험은 매우 높아집니다. 특히 습기나 바람은 체온 손실을 가속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저체온증은 신체의 중심 체온(Core temperature)이 35℃ 이하로 떨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외부 온도와 저체온증의 발생은 환경 요인뿐 아니라 옷차림, 신체 상태, 체온 조절 능력 등 개인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실외온도가 10℃ 이하로 내려가면 체온 손실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활동하지 않고 가만히 있을 경우 체온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특히 습한 환경이나 바람이 강한 환경에서는 체온 손실이 더 빨리 진행됩니다. 저체온증은 보통 0℃ 이하의 환경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지만, 온도가 높더라도 젖은 옷을 입거나 적절한 보호가 부족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운 환경에서 저체온증을 예방하려면 따뜻한 옷을 겹쳐 입고, 바람과 습기를 막는 방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저체온증은 중심체온(심부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이렇게 되는 실외온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단정지어 말할순 없구요.
저체온증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운 환경에 노출
외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같은 질환
술이나 약물에 노출
탈진
질병이나 손상 등으로 인한 의식 저하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저체온증은 체온이 35°C (95°F) 이하로 떨어질 때 발생하며, 실외 온도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발생 위험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온도 범위에서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 발생 위험 온도
10°C (50°F) 이하: 이 온도에서 장시간 노출될 경우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5°C (60°F) ~ 21°C (70°F): 특히 젖은 상태에서는 이 온도 범위에서도 저체온증 위험이 있습니다
27°C (80°F) 이상: 일반적으로 이 온도에서는 저체온증 위험이 낮지만, 특수한 상황(예: 고령자, 젖은 상태)에서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신체의 정상 체온은 36.5~37.0℃의 범위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차가운 물에 잠겼거나 여러 시간 추운 환경에 노출되는 등의 환경적 요인이나 외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 부신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저혈당증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수면제 등의 약물을 복용한 경우,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등의 이유로 방어 기전이 억제되면서 정상 체온을 유지하지 못하고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질 경우 저체온증이라고 합니다.
저체온증이 시작되는 절대적 온도가 정해져 있다기 보다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으나 온도가 낮을 수록, 노출 시간이 길 수록 위험성이 높아지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사람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건 심부체온입니다.
심장에서 멀리 떨어진 귀, 코, 손끝, 발끝은 외부 온도에 따라서 얼마든지 36.5도보다 높아지기도 하고 낮아지기도 합니다.
이런 심부가 아닌 신체 부위의 온도는 36.5도가 아니라면 얼마든지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렇게 춥지 않은 20도 정도 환경이라도 오래 노출되면 충분히 손발의 온도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매우 추운 영하 환경 노출되거나 얼음물에 몸을 담구더라도 몸 표면이나 손발의 온도는 금방 떨어지겠지만 몸의 심부 체온은 36.5도를 유지합니다. 우리 몸의 모든 에너지원을 사용해서 이 체온을 유지하려고 하겠죠. 그러다가 모든 에너지를 다 소비하고 나면 체온이 떨어지면서 저체온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겠습니다.
이 저체온증 발생의 기준은 외부온도가 몇도냐가 중요한것이 아니고 얼마나 오랫동안 내 몸보다 추운곳에 노출되어서 에너지를 잃어버리냐가 중요하겟습니다. 물론 더 추운곳일수록 더 빨리 열에너지를 뺏기고 더 빨리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는 잇겠습니다.
그래서 비교적 낮지 않은 15-20도 물에 노출되면 빠르게 저체온증에 빠질 수 있습니다. 액체는 기체보다 열에너지를 더 빨리 가져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공기중에 있을때보다 더 빨리 저체온증에 빠지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