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임진왜란 때 왜군은 어째서 전라도 지방을 침략하지 못했나요?
진주성에서 잘 막은 덕분이라고 역사책에서 배웠습니다만 어차피 진주성 병력이 크지 않으니 성에서 후방을 못 치게끔 일부 병력을 두어 성을 묶어두고 나머지 병력으로 전라도로 들어가 식량 등을 수급하면 되었을 텐데 왜 그러지 않았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도 한양으로 빠르게 진격하여 선조를 볼모로 잡아 조선을 점령한 후
명나라로 쳐들어가는 것이었습니다.즉, 속전속결이 중요했지요.
때문에 전라도를 제처두고 바로 한양에 진격한 것입니다.
허나 선조가 평양으로, 의주로 도망가면서 전쟁은 길어지게 되었고
더군다나 이순신의 승리로 인해 보급에도 차질을 빚게 됩니다.
아시다시피 한반도는 고려도 그러했고 조선 역시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인지라 강과 바다를 이용한 수운으로 물자를 조달했습니다.
일본도 수운을 통해 보급을 받고자 하였지만 이순신에 의해 막힌 것이지요.
이처럼 전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자신들의 배후지역... 즉, 전라도 지역을 점령하여
후방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곡창지역에서 식량을 조달하려 했습니다.
허나 전라도 지역에 대한 공략 역시 이치 전투에서 패배하였고
전라 좌수영이 위치한 전라도 남해안 일대 역시
진주대첩에서 일본군이 크게 패배함으로써 좌절되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라도로 가는 길목이 평지가 아니라 많은 성과 산으로 둘려쌓여 있고 이미 의적 등이 다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