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적절히균형
적절히균형

건강검진을 1년에 2번 받는게 괜찮을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40대
기저질환
위염. 역류성식도염

40이 넘으면서 최근 5년간 매년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있어서, 국가건강검진이 나오는 건 아예 안 받고 있었는데요.

자주 받는것도 건강에 안좋을 수 있을것 같아서요.

문득 아까운 생각이 들어서요.

위내시경과 유방암은 빼고 나머지 검진은 받는게 어떨까요? 6개월정도 텀을 두고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한솔 의사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년에 2번 건강검진’ 자체가 해롭진 않지만, 모든 항목을 반복해서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과잉검사·비용 대비 효용 등을 고려해 항목 선택이 중요합니다.

    1. 1년에 2번 검진, 문제 없나?

    혈액검사, 소변검사, 기본 진찰: 6개월 간격으로 받아도 안전합니다. 방사선 노출이 없고 과도한 부작용도 없습니다.

    X-ray, CT처럼 방사선 노출이 있는 검사: 불필요한 반복은 피하는 것이 더 보수적입니다.

    초음파(갑상선·복부·유방): 방사선이 없어 반복해도 안전합니다.

    위내시경: 증상이 없는 경우 1년에 1회 이상 반복할 필요는 거의 없습니다.

    2. 당신 상황 기준 권장 방식

    (40대 중반, 위염·역류 경험, 대학병원 정기검진 이미 시행)

    A안: ‘정기검진 + 국가검진 병행(6개월 간격)’이 가장 합리적

    1회차(예: 상반기): 대학병원 종합검진

    2회차(예: 하반기): 국가건강검진(기본 검사 위주)

    다만 중복될 필요 없는 항목

    위내시경: 증상이 안정적이면 1년에 1회면 충분

    유방촬영(망막 X-ray): 중복 불필요.

    갑상선·복부초음파: 괜찮지만 이상 없으면 1년 주기 정도면 충분

    3. 6개월 간격으로 받을 때 현실적인 구성 예

    상반기 – 대학병원 정기검진

    혈액/소변 정밀검사

    복부초음파

    갑상선초음파

    위내시경

    유방촬영 또는 유방초음파

    심전도

    하반기 – 국가검진(간단하게)

    기본 혈액/소변

    흉부 X-ray(필요 시)

    기본 신체계측

    추가로 필요하면: 간·신장수치 모니터링 정도

    4. “자주 받는 게 건강에 안 좋을까?”에 대한 보수적 해석

    피검사나 초음파는 부담 거의 없음

    방사선 검사(X-ray·CT)는 중복 최소화가 안전한 방향

    과잉검사로 인해 의미 없는 경미한 이상 소견 때문에 추가 검사·걱정이 생기는 경우는 실제로 존재함 → 항목 조절이 핵심

    정리

    1년에 2번 검진 자체는 안전

    항목 조정이 중요: 위내시경·유방촬영은 매번 반복 불필요

    혈액검사·초음파 중심으로 보완하면 충분

    최근에는 공단 검진과 같이하면 일부 할인 해주는 곳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2명 평가
  • 검진을 1년에 두 번 받는다고 하여서 건강 상태에 해롭고 건강이 나빠진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굳이 그렇게 짧은 간격을 두고 검진을 받을 필요가 꼭 있지는 않겠습니다만 원한다면 그렇게 하여도 건강에는 크게 문제될 것 없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