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처 보크(BALK)가 정확히 어떤 동작인가요?
안녕하세요? 프로야구에서 투수가 피처 보크(BALK)를 하면 패널티를 얻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정확히 어떠한 동작인지 알고 싶습니다.
투수가 타자를 속이기 위한 행동을 하는것인데요. 본인이 정상적인 투구 동작에서 다른 행동을 하는 경우인데 보통 셋포지션에서 발을 빼지 않고 1루를 견재하거나 투수가 투구를 할때 멈춤동작 없이 바로 던지는 경우 입니다
보크는 주자가 있을 때 타자나 주자를 기망하는 동작이라고 정의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특정한 동작이 아니라 여러가지 상황에서 다양한 동작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세부규정은 리그에 따라 심판에 따라 달라집니다.
누가 봐도 보크라고 공통적으로 선언하는 경우의 몇 가지만 말씀 드립니다.
투수가 공을 떨어뜨렸을 때
세트 포지션에서 멈춤 동작이 없었을 때
투수판을 밟은 상태에서 견제 동작만 취하거나 견제방향을 바꿨을 때
그밖에 이중동작 때문에 보크를 지적받는 경우도 있으나 이게 애매하니 보통은 심판들끼리 합의를 거쳐서 경고 수준에서 그친 후 이후 동일 동작이 나오면 보크를 선언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소히 타자기만 행위라고 합니다
주자가 없는 루에 견제구나 견제 모션을 하였을 때, 또 투구 동작을 하다가 중간에 멈추거나, 투구 폼을 잡은 상태에서 부정 행위를 하거나, 넘어졌을 때 공을 놓치 않았을 때, 투구를 하는데 쉬는 동작 없이 투구를 할때, 견제를 하려는 루 방향으로 정확하게 발을 딛지 않았을 때 심판이 선언합니다
- 투수는 투구 동작에 들어가기 전에 투구판에 축발을 디디고 던져야 하는데요.
축발이 투구판에 닿아서 투구 동작에 들어가면 투구를 꼭 해야하는데, 이를 멈추거나 공을 던지지 않으면 보크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