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지수선물과 현물 주식의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주가지수선물과 현물 주식의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론적인 가격과 실제 가격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선물과 현물의 가격차이와 같은 경우에는
경제적인 상황이나 아니면 거래량 등에 따라서
가격 차이가 발생하기도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지수선무로가 현물 주식의 가격 차이는 비용이론(Cost of Carry)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선물을 보유하는데 필요한 비용과 배당 수익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이론적으로 선물 가격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선물 가격=현물 가격×e(r−d)T
※ (r-d)T는 e의 제곱입니다.
여기서 r은 무위험 이자율, d는 배당 수익률, T는 만기까지 남은 기간입니다.
쉽게 말해, 선물을 보유하는 동안 현물 가격에 자금을 빌리는 비용이 추가되지만, 그 대신 현물을 직접 보유할 때 받을 수 있는 배당 수익은 차감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이론적으로 계산된 가격과 다소 차이가 나곤 합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거래 비용입니다. 차익거래를 통해 이 차이를 해소하려면 매수와 매도 시 거래 수수료와 세금이 발생하는데, 이 비용이 클수록 이론 가격으로 조정되기 어려워집니다.
둘째, 배당 수익의 예측 오차입니다. 이론 가격은 예상 배당 수익을 반영하지만 실제 지급되는 배당이 달라질 경우 선물과 현물 가격에 괴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셋째, 시장 참여자의 심리와 수급 불균형도 원인입니다. 선물 시장은 종종 헤징 수요나 투자자들의 매수.매도 심리에 따라 수급이 왜곡되곤 합니다. 예를 들어, 선물 시장에서 매도자가 많아지면 선물 가격이 저평가될 수 있습니다.
넷째, 거래 실행의 제약입니다. 차익거래를 통해 가격 차이를 이용하려면 상당한 자본이 필요하고, 거래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런 접근이 쉽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차이점은 결국 베이시스라는 개념으로 표현됩니다. 베이시스는 현물 가격 - 선물가격으로 계산되며, 선물이 고평가되면 음수 베이시스, 저평가되면 양수 베이시스 상태가 됩니다.
이론적으로는 이런 차이를 이용해 차익거래가 발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선물이 고평가되면 선물을 매도하고 현물을 매수하는 전략으로 이익을 실현할 수 있고, 반대로 선물이 저평가되면 선물을 매수하고 매도해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가 반복되면 결국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은 만기 시점에 수렴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선물지수는 미래의 시점에 대한 평가이고, 현물은 현재 시점에 대한 평가이기때문에, 주식의 가격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선물지수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 불안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지수선물과 현물 주식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현물 주식 거래는 거래 대금을 즉시 지불해야 하지만 선물거래는 만기일에 지불하기 때문에 현물지수보다 자금 조달 비용이 적게 듭니다. 이로 인해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지수 선물과 현물 주식의 가격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기대 수익률 차이와, 기타 요소들에 기인합니다.
주가지수선물은 주식시장의 미래 예상 가격을 반영하는 상품으로, 배당금이나 금리와 같은 비용 요소가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현물 주식은 배당금이 지급되므로, 배당 수익을 고려한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고ㅡ
선물은 만기까지의 시간가치가 반영됩니다.
이론적으로 이를 설명하는 모델은 캐리비용모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