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미술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

우리나라에 인도에 보도블럭은 언제처음 공공사업으로 시작되었나요?

길을 가다보면 멀쩡한 보도블럭을 가라업는 광경을 자주 봅니다 지자체 예산을 위해 그렇다고는 하는데 이런 보도블럭 사업은 역사상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보도블럭을 최초로 깐 나라는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도블럭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그 시작은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로마시대에는 돌로 된 길이 만들어지면서 보도블럭이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인도에 보도블럭을 도입한 것은 1960년대 중반부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전에는 도시의 중심가나 광장 등에 시멘트나 석재 등을 깔아 놓는 방식으로 도로나 보행로를 조성했지만, 인도에 보도블럭이 도입된 후에는 이 방식이 대부분 대체되었습니다. 하지만, 보도블럭이 인도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처음 보도 블럭을 깐 것은 약40년전인 1982년 11월 : 경기도 이천군 부발읍에 코단이라는 회사가 (코리아+덴마크)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록 국내 최초 생산 한 것이 처음 이라고 합니다. 전 세계 적으로는 아마도 유럽 그것도 로마 제국 당시의 도로의 보도 블럭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블럭의 역사는 매우 오래된 것으로, 로마시대부터 이미 보도블럭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보도블럭의 경우, 철도공사의 산업화로 인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보도블럭을 최초로 깐 나라는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지만, 보도블럭이 먼저 생산된 국가는 영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세기 초반, 영국의 석탄산업이 발전하면서 철도건설과 함께 보도블럭 생산 역시 발전하였습니다. 이후 보도블럭 생산은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도블럭을 가라앉히는 광경은 지방정부나 도시청 등 지방 단위의 예산을 사용하여 시행되는 도로 관리 및 보수 작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보행자나 자동차 등의 교통 안전을 위해 깨어진 보도블럭을 교체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서울시의 보도블럭에 대한 역사에 대한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news.seoul.go.kr/traffic/archives/500345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나라의 보도블럭의 간략적인 흐름은 이렇습니다. 1982년 경기도의 "코단"이라는 회사에서 독일의 생산설비와 덴마크의 기술력으로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럭을 국내 최초 생산하며 1985년 과천 서울 대공원에 대규모 시공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