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날으는피자
날으는피자

아이는 메롱을 언제 배우는지 궁금해요

아이들이 메롱을 하는거랑 메롱을 하는게 남을 놀린다는 거 의미를 언제 깨닫게 되는지 궁금해요. 그걸 가르쳐 주지 않아도 아나요? 어떻게 배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메롱이라는 말이나 행동은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들이 처음 배우는 의사소통 수단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아이들은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자연스럽게 배우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나 형제자매, 친구들이 메롱을 하면서 서로 장난을 치는 모습을 보고 따라하면서 배울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메롱을 하는 이유는 대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상대방을 도발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아이들은 단순히 재미있어서 또는 호기심 때문에 메롱을 하기도 합니다.

    남을 놀리기 위한 의도로 메롱을 하는 경우, 그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이나 보호자는 아이들이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지도해주어야 합니다. 즉, 타인을 불쾌하게 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고, 대신 올바른 방법으로 소통하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요약하면, 아이들은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메롱을 배우게 되며, 때로는 남들을 도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때 부모님이나 보호자는 아이들이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교육하고,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심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메롱을 배울 수 있는 시기는 보통 두돌 정도라고 합니다. 두돌이 되면 자기가 하고 싶은것들은 단어로 다 표현을 하고 기억력 또한 매우 좋아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옆에서 메롱을 조금 갈켜주면 아이들은 저절로 하게 됩니다. 자기 혓바닥까지 컨트롤이 가능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놀릴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은 가르쳐 주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어릴때 메롱을 하면 엄청 귀엽다고 합니다. 따라서 한번쯤은 아이에게 가르쳐 주시고 해보도록 시켜봐주시는것도 좋은 추억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기가 혀를 낼름 하는 것은 구강기 생후 0~18개월 두돌 아기에게는 발달상 자연스러운 행동 입니다.

    아이가 혀를 낼름 하는 이유는 양육자의 모습을 보고 모방하거나, 입으로 탐색을 하거나, 이가 날 때, 건조할 때, 거절과 거부의사, 배가 고플 때 혀를 낼름 거립니다.

    아이가 메롱 하는 정확한 시기는 말할 수 없지만 신생아 시기에서 조금 터 크게 되면 메롱을 하는 때가 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주로 다른 아이들이나 어른들이 '메롱'을 하는 것을 보고 배웁니다. '메롱'했을 때 주변 사람들의 반응을 통해 그 의미를 이해합니다. 사람들이 싫어하거나 좋아하거나. 친구나 가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메롱'이 남을 놀리는 의미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배웁니다 .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상대의 기분을 나쁘게 하기위해 하는행동은 단순히 혀를 내미는 행위보다는 고차원적인 행동이기에 적어도 유치원정도 되야 알아지는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보통 5세정도가 되면 배울수있으며

    누군가 알려주지 않아도 티비나 기타 메체 주변친구들을 보고 알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주변의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보고 따라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메롱이라는 행동을 하는 행동을 보거나 아이에게 직접 메롱하는 행동을 하게 되면 아이는 충분히 따라 할수 있다고 보며 처음에는 그것이 무슨 뜻인지 모르고 할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3세~4세쯤에는 메롱이라는 행동이 놀리거나 장난을 치는 행동임을 아이에게 알려주면 인식은 할수 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들은 어른이 생각하는것보다도 관찰력이 좋습니다~주변을 관찰하여 본것을 모방하여 하는 행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통은 메롱이라는 걸 다른 또래 친구들이나 어른들에 의해서 배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이 말을 하게 되고 사회성이 발달하게 되면서 다른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모방 행동을 하게 되는데요. 그때의 아이들이 해당 행동을 배운다고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