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눈은 왜 하얀색, 흰색 일까요?
눈을 보면 색깔이 하얀색입니다.
왜 눈은 하얀색을 나타낼까요? 여러가지 색상중에 하얀색을 나
타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내용을 알고계시면 공유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눈이 하얀 이유는 눈이 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물체가 색깔이 보이는 이유는 그 색깔의 파장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흡수하기 때문인데,
이때 눈의 결정은 난반사로 인해 모든 파장을 반사시켜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3가지 색(빨강, 파랑, 초록) 이 섞이면 흰색이 된다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주입식 교육 -_-; 을 통해서 알고있습니다.
눈은 입자가 큽니다. 우리 눈으로 눈을 볼수있을정도로 크죠? 그래서 빛이 통과를 하다가, 그 입자가 너무 커서 뚫지 못하고 분산, 즉 산란되고 맙니다.
빛은 7가지 색이 있습니다. 이 7가지 색의 빛은 산란되면서 섞여 버립니다.
그래서 색들이 섞여서 결국 흰색이 되고 마는것입니다!
구름이 하얀이유도 같은 이유입니다.
구름은 수분들이 모여있는 덩어리이죠? 빛이 오다가 이 덩어리를 통과하다가 서로 부딪쳐서 일부가 산란되어 다 섞여버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구름도 하얗게 보입니다.
그럼 먹구름은 무엇이냐!!! 빛이 산란이 되는대 그 구름이 너무 두꺼워서 빛이 아예 통과를 못하게되면 빛이 차단이 되기때문에 검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