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의 AI 국가전략 수립, 무역 디지털화와 어떤 접점이 있을까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AI 국가전략을 추진한다는데 통관 자동화, 전자서류 교환, 무역데이터 분석 같은 부분에 어떻게 연결될지 관심이 큽니다 우리 무역기업들이 디지털 무역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기회를 잡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AI 국가전략이 본격화되면 무역 분야에서도 변화가 바로 체감될 수 있습니다. 통관 단계에서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신고서 검증이나 서류 일치 여부 같은 건 AI가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게 되고, 전자서류 교환 시스템도 지금보다 훨씬 더 표준화가 빨라질 겁니다. 특히 방대한 무역 데이터를 AI가 학습하면 원산지 검증, HS코드 분류, 물류 최적화까지 예측형 서비스로 확장될 가능성이 큽니다. 제 입장에서는 이런 흐름이 우리 무역기업에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기회가 더 크다고 봅니다. 디지털 무역 경쟁은 결국 정보 접근성과 처리 속도에서 갈리는데, 국가 전략 차원에서 인프라를 구축해주면 기업은 그 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여지가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디지털무역이란 말씀하신대로 디지털화된 무역을 뜻하기도 하며 디지털 컨텐츠 자체의 무역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하여는 디지털화된 무역은 모든 측면에서 디지털화를 진행하면 되며, 컨텐츠의 경우 별도의 하나의 판매로 봐야될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과기정통부의 AI 국가산업의 내용은 일단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https://www.etnews.com/20250906000008
무역이나 통관관련 분야에 많은 예산이 배정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만, 일단 통관자동화나 전자서류 교환, 무역데이터 분석 등 무역 디지털화 기술과 연계되는 부분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