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4.06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의 고혈압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나이
5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고혈압/고지혈

저도 고혈압이 있고 한두가지 혈관 질환이 생기고 나서

최근에 신장이 안 좋다고 해서 아주 신경을 쓰고 있는데

제 친구가 현재 10년째 혈액투석을 주 3회정도 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약을 간헐적으로 먹는다고 하는데

신장기능이 전혀 안하는데 이렇게 되면 위험하지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혈액투석환자도 혈압조절하는데 특별히 다르지는 않습니다. 다만 투석환자에서는 갑자기 저혈압이 올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좀 더 목표치를 높여서 잡기는 합니다. 수축기 혈압 140~150 까지 지켜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말기 신부전 환자의 경우 혈액투석으로 신장 기능을 대체하면서 지내게 됩니다. 그러나 고혈압이 동반되어 있다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혈압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심혈관계 합병증 위험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10년 이상 장기간 투석을 받는 경우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 혈압약의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복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친구분께서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지 않는다면 투석 중 혈압 상승이나 심혈관계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신장내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적절한 혈압약을 처방받고, 약물 순응도를 높일 수 있도록 주변에서 격려해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또한 정기적 검진을 통해 심장 기능과 혈관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말기신부전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만큼,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