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부부 얼마를 모아야할까요? 알려주세요
부부합산 제가 1억 와이프가 4천정도됩니다.
세금제하고900~950정도되는데
저희부부에 3살 아들한명있는데요.
돈을 많이 모아야하는 시기인건 알고있는데 돈모으는게 쉽지않네요
고정지출이
❤️12월
*11월 25일 제월급
-관리비(국민카드/카드내역 바로 결제) 200,000
-친정여행적금&시댁여행적금(카카오/11월25일) 200,000
-가족여행적금 (카카오/11월 26일) 50,000
-연금적금(15년납/국민/11월 25일) 150,000
-월주차 (11월 25일) 50,000
-저랑 와이프용돈 1,000,000
-생활비 1,300,000
- 보험&폰 600,000
-기름(병문/12월 1일) 400,000
-정수기&공청 (국민/12월 10일) 80,000
-인터넷(국민/12월 22일) 50,000
-아기보험(국민/12월 ) 120,000
-주택청약(국민/12월 22일) 50,000
-도시가스 (국민/12월 26일) 50,000
-침대 130 (3월까지)
-12월 휴가 300,000
-엄마&아버님 생신 600,000
=620
❤️12월 5일 와이프 월급
-차(5일) 1,000,000
-집대출 이자(5일) 440,000
-아기 얼집 특활비 (5일)
이정도됩니다
줄여야하는건 뭐고 어떻데 돈을 모아야할지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수분들의 가계부 공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남편분과 아내분의
차에 대한 대금이 언제까지일지 모르나
이를 좀 줄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더불어서 용돈 등에서 조금 줄이시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 참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새 물가 때문에도 그렇고 아이 교육비며 장난 아니죠.
그런데 생활비만 600은 너무 과소비쪽으로 보여집니다.
보통 중위소득으로 세 식구에 월 500정도라고 보고 있는데요.
각종 지출 비용 300~400 정도에 100~150정도 저축하면서 사는 분들이 많다는 기준하에 설명드리자면
일단 가계부 비율로 보았을 때
보험비 5%씩 (본인, 아내, 아이)으로 잡고 집안내력이 있으면 7%
집안행사, 결혼식, 공과금 5%~7% (저축하면서 일 생길때마다 쓴다는 개념)
식비는 회사에서 드실거고 보통 200정도면 충분히 됩니다.
그 외 대출금을 갚고나서 나머지는 저축을 해야합니다.
팁을 드리자면 보험비와 생활비 부분에서 쓸데없는 지출을 줄인다. (과소비 부분 체크, 특히 OTT나 휴대폰비용 등)
대부분 보험비를 최상으로 들어놓고 30년납 소득에 15%~20%를 내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이렇게 되시면 나중에 실직이나 문제가 생기면 결국 해지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가족간의 여행은 좋으나 해외여행을 너무 자주간다거나 고가의 외식을 자주 한다거나 하는 것을 체크보십시요.
지금 많이 버시니 그렇게 갈 수 있는거 아니냐 하실텐데
점점 갈수록 화폐가치는 낮아지며 아이는 클 수록 돈은 더듭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서 소득수준은 점차 낮아지는 시점이 오게 되었을 때
내가 자산소득이 근로소득이 내려가는 %만큼 채워지지 않으면 지금의 행복은 없어지실겁니다.
주식, 부동산 등 투자 공부를 계속하시면서 근로소득을 최대한 자산소득으로 전환작업을 하셔야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