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전환장애와 노시보효과누 어떤 증상인가요?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스위스에서 냉동창고에서 사람이 갖혀있다가 죽었다고 하는데요. 전환장애나 노시보효과 등이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전환장애는 신경학적 원인 없으도 마비,발작, 실명같은 신체증상이나타나는 심리적장애입니다.

    강한 스트레스나 트라우마가 무의식적으로 신체증상으로 전환되는것입니다.

    노시보효과는 약이나 환경이 실제로는 해롭지않아도, 해롭다고 믿는 심리적기대가 두통이나 통증, 심혈관변화등 부정적인 신체반응을 유발하는 현상입니다.

    냉동창고사례처럼 실제 치명적인 저온이아니더라도, 극도의 공포와, 곧 얼어죽을것이라는 인식이 심박, 혈압, 체온조절에 악영향을 주어서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와 노시보 효과(nocebo effect)는 모두 심리와 신체 반응이 강하게 연결된 사례이지만, 원리와 증상 양상이 조금 다른데요, 우선 전환장애란 심리적 스트레스나 갈등이 신체 증상으로 '전환'되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의학적 검사에서는 뚜렷한 기질적(물리적) 원인을 찾기 어렵습니다. 뇌가 심리적 위기 상황을 “신체 증상”이라는 형태로 무의식적으로 표현된 경우로 전쟁 중 폭격을 목격한 후 시력을 잃은 군인이나 큰 심리적 충격 후 걷지 못하게 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노시보 효과란 약이나 상황에 대해 부정적인 기대를 가질 때, 실제로 해로운 신체 반응이 나타나는 현상인데요, 플라세보 효과(긍정적 기대 → 좋은 반응)의 반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건 해로울 것이다’라는 믿음이 스트레스 반응(코르티솔 분비, 교감신경 과활성)을 유발 → 심혈관·호흡계 기능에 영향을 준 경우로 가짜 전자파 노출 실험에서 실제로 편두통·피로가 나타난 경우나 무해한 약을 "부작용이 심하다"고 말했을 때 진짜 부작용을 경험한 것을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 전환장애는 심리적 갈등이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정신 질환으로, 마비, 실명, 발작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지만 신체적 원인은 없습니다. 반면, 노시보 효과는 부정적인 기대나 믿음으로 인해 실제로는 해롭지 않은 물질이나 상황에 대해 부작용이나 해로운 증상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두 개념 모두 심리적 요인이 신체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 전환장애는 심리적 갈등이나 스트레스가 무의식적으로 신체 증상으로 '전환'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합니다.

    신체적으로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꽤병이라 하는 사람도 있지만, 꽤병과는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증상도 다양하게 발생하는데, 마비나 발작, 보행 장애, 떨림, 근육 경련, 삼킴 곤란 등이 발생하거나 시력 상실, 난청, 감각 마비, 통증 감각 상실 등을 보이는 사람도 있고 발성 불능, 의식 소실, 기억 상실 등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노시보 효과는 부정적인 기대나 믿음 때문에 실제로는 해롭지 않은 물질이나 상황에 의해 증상이 나타나거나 악화되는 현상입니다.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플라시보 효과의 반대 개념이죠.

    예를 들어, 환자가 약을 처방받으면서 '이 약을 먹으면 속이 불편할 수 있습니다'라는 말을 들었을 때, 실제로는 부작용이 없는 약임에도 불구하고 속이 불편해지는 경우를 노시보 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심리적인 것이다보니 증상이 매우 다양합니다.